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일대의 모습./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오세훈표 정비사업인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재건축에 속도를 내려는 단지들이 늘고 있다. 강남권, 여의도 등 알짜 단지들의 참여가 눈에 띈다.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최근 소유주 모임인 ‘은마반상회’ 주도도 신속통합기획 신청을 위한 동의서 징구를 시작했다. 반상회측은 "조합설립 이후 단계의 심의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라도 신청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라며 "서울시 설명회를 거쳐 최종 제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은마아파트는 강남권 재건축의 대장주로 꼽히지만 2003년 재건축 조합설립 추진위원회가 설립된 이후 18년째 조합 설립조차 하지 못하고 정체된 상태다. 용적률·건폐율·가구수 등 재건축 밑그림인 정비계획안 조차 서울시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신속통합기획은 정비계획 수립단계부터 서울시가 참여해 공공성을 확보하는 대신 각종 심의기간을 줄여주는 제도다. 통상 5년 넘게 걸리는 정비구역지정 절차는 2년 안팎으로 줄일 수 있다. 이후 사업시행단계에서 이뤄지는 교통심의·환경심의·건축심의도 통합해 심의 기간을 절반 가량 단축시킬 수 있다. 은마아파트의 경우 신속통합기획에 올라타면 계류 중인 정비계획안 심의부터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온다.
신속통합기획 재건축은 공공기획으로 불릴 때만 해도 낮은 인지도 탓에 참여하는 단지가 없었다. 1호 사업장으로 선정하려던 송파구 오금현대아파트는 주민들의 반발로 좌초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공공재개발 등 정부 주도 정비사업과의 차별성이 부각되고, 재개발 공모가 흥행하면서 재건축 신청도 덩달아 탄력을 받았다.
인근 미도아파트와 영등포구 여의도 시범아파트는 신속통합기획 신청을 끝낸 상태다. 구로구 궁동 우신빌라 역시 주민동의율 30%를 넘겨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 서초구 신반포2차아파트 역시 최근 조합원 대상 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신속통합기획 신청을 추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면제 등 혜택이 없는데다 공공임대비율이 늘어나는 등 불이익에도 참여를 고민하는 단지가 늘고 있다는 것은 재건축 속도가 중요한 단지들이 많다는 의미"라며 "사업기간이 줄어들면 이자 등 부담도 그만큼 덜 수 있어 진지하게 고민하는 단지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