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올해 들어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 금리가 1% 넘게 떨어지면서 카드론(장기카드대출) 금리차가 최대 3%포인트까지 좁혀졌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와 정부의 카드론 조이기가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급전이 필요한 수요가 현금서비스로 옮겨가면서 서민들의 이자부담도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일 여신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7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의 표준등급 기준 현금서비스 평균금리(운영가격)는 16.28~18.7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 18.5~19.48% 대비 하단은 2.22%포인트, 상단은 0.7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7개사 평균값은 17.58%로 지난해 12월 말 평균값인 18.94%보다 1.36%포인트 낮아졌다.
현금서비스 금리인하 움직임에는 지난 7월 단행된 법정 최고금리 인하(24→20%) 영향이 가장 컸다. 금융당국이 카드론 규제를 강화하면서 급전이 필요한 일부 수요가 현금서비스로 이동하는 풍선효과 발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올 들어 현금서비스 이용은 늘고 있는 추세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7개 전업카드사의 현금서비스 잔액은 지난해 말 5조2178억원에서 올해 6월말 5조4734억원으로 4.9%(2556억원) 증가했다.
현금서비스 금리가 떨어지면서 카드론과 금리차이도 기존 5~6%포인트에서 3~4%포인트로 좁혀졌다. 9월 말 기준 7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과 현금서비스의 평균값 금리 격차는 4.41%포인트로 지난해 말 5.62%포인트에서 1% 넘게 줄어들었다.
문제는 현금서비스 금리가 떨어진다 해도 여전히 카드론에 비해 고금리라는 점이다.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사이 금리 차이가 줄어든다 해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금리가 낮고 상환기간이 긴 카드론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내년부터 카드론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50%를 적용하는 한편, 현금서비스는 규제에서 빠지면서 카드론 수요가 현금서비스로 몰리는 풍선효과가 일어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는 일정 부분 대체재로 볼 수 있다"며 "내년부터 카드론 규제가 강화되면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이 현금서비스에 몰릴 수 있는데, 현금서비스는 카드론에 비해 금리도 높고 바로 갚아야 하는 만큼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