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0.14 10:57

[2021 국감]'꺾기' 최다 기업은행, 배경엔 교차판매 고배점 KPI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기업은행의 '꺾기' 영업 뒤에는 핵심성과지표(KPI)에서 교차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유동수 의원이 IBK기업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 KPI에서 교차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30점에서 지난해 55점으로 3년 만에 2배 가까이 상승했다.
기업은행 KPI는 ▲수익성 및 건전성 ▲성장성 ▲고객관리 ▲직원·내부통제 등으로 구성된다. 총점은 1000점으로 매년 같지만 각 부문 당 배정된 점수는 연도별로 상이하다. 해당 연도에 은행이 중요하게 여기는 부문에 따라 비중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2017년 고객관리 부문에 배당된 배점은 개인 고객관리 50점, 기업 고객관리 45점 등 총 95점이다. 여기서 교차판매에 대한 배점은 개인 고객과 기업고객 모두 15점에 머물렀다. 이듬해인 2018년에는 개인교차판매 배점이 늘어났다. 전년에는 배점이 15점이었으나 1년 뒤인 2018년에는 20점으로 늘었다. 영업점에서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카드나 보험, 펀드 등 상품을 판매한 경우 실적을 더 인정해준다는 의미다. 기업고객관리는 전년과 같은 15점이 배당됐다.
교차판매 배점 비중은 시간이 지날수록 커졌다. 2019년 개인고객에 대한 교차판매 배점은 1년 만에 5점 증가한 25점으로 늘어났다.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0점을 늘려 35점을 배정했다. 2017년과 비교하면 3년 만에 20점이 늘어난 것이다. 기업을 대상으로 한 교차판매 KPI는 2019년까지 15점으로 유지되다가 지난해 20점으로 상향됐다.
유동수 의원은 “기업은행은 지속적으로 지적받은 일명 ‘꺾기’(대출 조건으로 예·적금, 카드, 보험, 펀드 등을 함께 판매하는 영업 행위) 영업의 배경에 본사 KPI가 원인임을 보여준 것"이라며 “본사 차원에서 매년 교차판매에 대한 KPI 배점을 늘린 게 일선의 꺾기 영업을 장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가장 많은 ‘꺾기’ 의심사례와 금액을 기록한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의 자주적 경제활동과 경제적 지위 향상이라는 국책은행 설립목적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코로나시대 끼워팔기로 청년·소상공인의 ‘희망 꺾기 행위’에 대해 따져 묻겠다”며 “‘신종꺾기’ 방지를 위한 감독규제 확대 적용 등을 포함한 금융당국의 제도개선은 물론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의 꺾기방지 자구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역설했다.
한편 기업은행의 올해 상반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1조21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9% 증가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