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저축은행 업계가 저소득층이 주로 생계형으로 빌리는 소액 신용대출을 줄여나간 것으로 파악됐다. 300만원 이하 한도로 취급하는 소액대출은 통상 생활자금이 필요하거나 연체를 방지하기 위한 급전창구로 쓰인다. 저소득·저신용자들의 대출 창구가 메말라가면서 제도권 밖으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저축은행 79개사의 소액신용대출 규모는 올 상반기 기준 900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9079억원 대비 75억원(0.83%) 감소했다. 1조1014억원에 달했던 2016년과 비교하면 2010억원(18.2%) 줄어든 규모다.
반면 총 여신은 매년 급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2분기 저축은행 업권 여신은 88조970억원을 기록해 1년 만에 27.1%(18조7870억원) 뛰었다. 5년 전 저축은행 여신규모가 39조4653억원에 불과했던 걸 고려하면 123.2% 늘어났다.
전체 여신에서 소액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7%에서 올 상반기 역대 최저인 1.0%로 떨어졌다. 적극적인 여신영업으로 업계 파이는 커지는 와중에도 소액대출 부문이 정체된 결과다.
소액신용대출 취급 않기도…업계 "총량규제 영향"소액대출은 은행에 큰 이익이 되는 건 아니지만 통상 금융취약계층의 긴급자금 창구로 여겨진다. 급전이 필요하거나 연체 이력을 남기지 않기 위해 기존 대출이자를 급히 상환할 목적으로 찾는 경우가 대다수다. 주 이용고객은 소상공인과 저소득계층,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한 저신용자다.
소액대출 자체를 사실상 취급하지 않는 업체도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 소액대출을 실행하지 않은 저축은행은 5곳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15개 업체의 소액대출 취급건수가 전무했다.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은 가구일수록 돈을 빌리기 더 어려워졌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으로부터 꾸준히 가계대출 총량관리 주문을 받고 있어 소액신용대출을 늘릴 여력이 없어서다. 저축은행 업계는 올해 전체 가계대출을 전년대비 21.1%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현재 소액신용대출도 총량규제에 포함돼 모니터링 중"이라면서 "여러 가계대출 중에서 하나를 줄여야 한다면 위험한 소액신용대출을 줄이는 게 업체로서는 합리적이다"고 설명했다.
소액이지만 코로나19 발발 이후 연체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우려할 부분이다. 조금씩 줄던 소액대출 연체금액은 지난해 6월부터 매 분기 증가하고 있다. 당시 연체규모는 501억원이었지만 지난 상반기 633억원으로 26.3% 증가했다. 장기간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 유예 조치가 시행되고 있는 만큼 실제 연체액은 더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