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9.13 17:12

'국토부 청년정책과 신설'…노형욱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마련해달라"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13일 국토부 신설 조직인 청년정책과를 찾아 직원들에게 "청년들의 주거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 가는데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13일 국토부 신설 조직인 청년정책과를 찾아 "청년들의 주거사다리를 튼튼히 만들어 가는데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노 장관은 이날 청년정책과 직원들은 만난 뒤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청년주택을 공급하고 청년특별대책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면서도 "많은 청년들이 주거비 부담 등으로 학업과 취업, 결혼, 출산 등 생애 전 단계에서 여전히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들이 겪고 있는 시름을 덜어주고 사회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첫 출발점이 주거문제 해결이라는 점"이라며 "청년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현장에 가서 직접 많이 듣고, 다양한 전문가들과 소통하면서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노 장관은 "부서가 새로 생긴 만큼 그간 우리가 해오던 일에 안주하지 말고, 업무의 지평을 넓혀서 집 걱정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을 세심하게 고민해달라"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청년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국토부와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4개 부처에 청년 관련 부서를 만들도록 했다. 국토부 주택토지실 주거복지정책관 산하에 신설된 청년정책과는 청년 주거정책 입안과 중장기 계획 수립, 청년 주거실태 점검, 청년 1인 가구 주거지원 등의 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그동안 여러부서에 흩어져 있던 청년 주거 업무를 총괄해 추진력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최근 집값 급등으로 청년들의 주거불안이 가속화되자 정부가 내년 대선을 앞두고 20·30대의 표심 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정책과 신설로 청년 주거정책도 탄력을 받는다. 국토부는 청년의 학업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 직장 인근에 부담 가능한 임대주택을 올해부터 2025년까지 총 24만3000호 공급한다.
내년에는 주거급여 대상에서 제외되는 저소득 청년을 두텁게 보호하기 위해 중위소득 60% 이하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최대 월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