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9.12 10:56

'대출만기 재연장' 관측 솔솔…금융당국, 금주 내 결정

고승범 금융위원장이 1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금융지주회장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금융당국이 시행중인 금융지원 정책이 다시 연장될 수 있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속출하고 있고, 고강도 거리두기가 이어지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경제상황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도 재연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주 내 금융지원 정책 연장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10일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을 만나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에 대한 논의를 나눴다.
고 위원장은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의 시한이 9월말로 가까워진 만큼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조치연장 요구, 장기유예 차주의 상환부담 누적 등 잠재부실 발생 위험과 같은 조치 연장 문제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합리적 방안 도출을 위해 금융당국과 금융권 모두가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지주 회장들도 “실물부문 금융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지난 6일에는 IBK기업은행을 포함한 6대 시중은행 여신 담당 부행장들과 회의를 열고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금융당국은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6개월 더 연장하는 방안을 두고 은행들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 현실을 고려할 때 금융지원 조치를 연장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약 두달 간 매일 네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거리두기 완화는 당장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영업피해로 어려움 역시 가중되고 있다. 만약 금융지원 정책까지 끊으면 한계에 다다른 취약차주가 무너질 가능성도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이자도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은 조사대상 기업 2520곳 중 39.7%를 차지했다. 전년말 대비 4.6%포인트 많아졌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 200% 초과 기업도 12.5%에서 15.3%로 늘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