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국내 금융권 부동산 PF대출 잔액이 지난 4년간 88% 넘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 당국이 부동산 PF대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위험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은 금감원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말 국내 금융권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88조4838억원으로 2016년말 47조256억원 대비 41조4582억원(88.2%) 증가했다고 밝혔다. 부동산 PF대출 급증은 부동산경기 호조가 주된 배경이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해외 대체투자가 어려운점(보험사), 부동산 직접투자 제한(여전사, 보험사) 등도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권역별로는 보험사가 36조3826억원으로 가장 많고, 은행(23조8572억원), 여전사(13조7997억원), 저축은행(6조8647억원), 증권사(4조2691억원), 상호금융(3조3105억원) 순이다. 부동산 PF대출의 금리는 보험사가 평균 3.24%로 가장 낮았고, 상호금융(3.47%), 여전사(4.59%), 증권사(5.78%), 저축은행(6.91%) 순이었다.
김 의원은 부동산 PF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금융 불안을 초래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감독당국에 보다 적극적인 위험 관리대책을 주문했다. 그는 "부동산 PF대출의 연체율이나 부실여신 잔액이 줄어드는 등 외관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부동산시장의 활황세를 등에 업고 부동산 PF대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감독당국은 보다 적극적인 위험관리대책을 마련해 시장의 안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