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8.31 14:00

2025년 40개 공공기관 부채 639兆…10곳 부채비율 200% 웃돌아




[세종=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오는 2025년이면 국내 40개 공공기관의 부채 규모가 639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부채비율은 내년 172.5%까지 치솟았다가 다소 완화돼 162.6% 수준일 것으로 보인다. 4년 뒤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공공기관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을 비롯해 10곳에 달할 전망이다.
기획재정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2025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오는 3일 국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운영법에 따라 자산 2조원 이상 또는 정부 손실보전 조항이 있거나 자본잠식인 공기업·준정부기관은 5개년 재무전망을 제출해야 한다. 현재는 40개 기관이 여기에 해당된다.
향후 5년간 이들 기관의 자산과 부채규모는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해 830조원 수준이던 총 자산규모는 올해 877조8000억원, 2022년 924조7000억원, 2023년 962조7000억원, 2024년 995조1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25년에는 1031조8000억원으로 1000억원을 돌파한다.
이에 대해 기재부는 "자산증가는 부동산 대책에 따른 주택 공급과 전력·도로·철도 등 기반시설 확충, 주거·기업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등 국민생활 필수분야 지원과 투자 확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채는 지난해 512조1000억원에서 올해 549조6000억원으로 늘어난다. 매년 증가세를 보이다 2023년 606조9000억원으로 앞자리가 바뀌고, 2025년에는 638조9000억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부채 증가와 관련해서 기재부는 "사업·투자에 소요되는 재원 중 일부 부족한 부분의 충당을 위한 사채 발행과 차입, 사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입채무 등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부연했다. 여기에는 LH의 임대보증금, 한국전력의 연료구입비, LH 분양 중도금, 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 미지급 및 한전 원전사후처리비 충당부채 등이 영향을 미쳤다. 사채·차입 등 금융부채의 총자산 대비 비율은 5년간 48~49% 대에서 유지될 것으로 기재부는 전망했다.
부채비율은 작년 161.1%에서 올해 167.5%로 하락할 것이라는 게 정부의 예측이다. 내년엔 172.5%까지 치솟았다가 지속적으로 개선돼 2025년에는 162.6%를 보일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2조9000억원 흑자를 기록했지만, 올해는 흑자폭이 7000억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내년엔 3조원을 기록한 뒤 2023년엔 6조7000억원, 2024년엔 7조8000억원으로 개선되고 2025년에는 10조3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중장기 투자요소를 차질없이 뒷받침하는 한편, 공공기관에 대한 다각적인 재무건전성 관리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라면서 "연말까지 재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는 기관에 대해서는 기관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경영 효율화와 책임성 강화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