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4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정부가 전기·수소차 배터리 등 무상수리 기간을 늘리고 정비소와 전문인력을 강화하는 등 인프라 구축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내년에 미래차를 포함해 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BIG3 산업 관련 예산을 43% 늘린 6조3000억원으로 확대해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올해 안에 전기·수소차 배터리 등 무상수리 의무기간을 2년·4만㎞에서 3년·6만㎞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빅3' 산업 내년 예산 6.3兆…미래車 정비소·전문인력 등 인프라구축 속도 미래차 배터리 등 무상수리 의무기간 확대, 배터리관리시스템 등 검사기술·장비개발 연구개발(R&D) 투자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홍 부총리는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 검사장비 보급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전기차 정비소 3300개, 수소차 검사소 26개 이상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정비업 시설기준 완화를 위해 일산화탄소와 압력측정기 등 내연기관용 시설기준 일부를 미래차에는 적용을 제외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인적 자원 확보 속도도 높인다. 홍 부총리는 "전문대 자동차학과 교육과정 미래차 중심 전환, 기존 정비책임자 정기 교육 의무화 등을 통해 2024년까지 4만6000명 미래차 검사·정비인력을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정·세제·금융 지원도 늘릴 방침이다. 그는 "BIG3 산업 관련 예산을 내년도 예산안에 올해보다 43% 늘어난 6조3000억원을 반영해 획기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내년부터 K-센서 R&D…2030년 5대 센서강국" 반도체 분야에선 내년부터 'K-센서' R&D에 들어간다. 홍 부총리는 "내년부터 차세대 센서 소자 등 핵심기술과 센서 기반 기술 등 약 2000억원 규모 K-센서 R&D 사업을 통해 2030년 5대 센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했다.
그는 "공공인프라를 활용한 센서 시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K-센서 글로벌 전담팀 신설 등을 통해 해외 진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첨단센서는 빛과 소리 등을 감지해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기관으로, 자율차·바이오·모바일 등 미래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된다. 글로벌 센서 시장 규모는 지난해 1939억달러에서 오는 2025년 3328억달러까지 연평균 11%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2%에 불과한 상황이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센서 반도체는 지난해 대비 올해 성장률이 24.8%인 유망 산업이다.
"2030년까지 세계적 제약·의료기기·화장품사 8개 육성" 바이오헬스 분야에선 유망 업종인 제약·의료기기·화장품 혁신기업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키우기 위해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이 분야의 제조업 내 비중이 약 10%,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중은 약 2.5%로 커지면서 처음으로 10대 수출 품목에 들어갈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빠른 산업이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 혁신형 바이오기업의 엄선 및 집중지원을 통해 반도체, 자동차 같이 글로벌 선도기업을 2030년까지 8개 육성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올해 혁신형기업-오송·대구 첨복재단 간 공동 R&D를 기획 추진하고, 내년에 1000억원 규모 전용정책펀드 조성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