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8.29 06:00

또 청년고용 현금성지원…'1인당 960만원' 고용장려금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정부가 청년을 채용한 중소기업에 연 최대 960만원의 '일자리 도약 장려금'을 지급한다. 사회생활 초 고용시장 진입을 유도하겠다는 것인데 기존의 현금성 지원과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26일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의 '청년 특별대책'을 마련해 발표했다.
핵심은 하반기부터 '일자리도약 장려금'을 고졸 포함 청년 14만명에게 주기로 한 것이다. 지금도 진행 중인 청년추가고용장려금 정책과 청년디지털일자리 지원 사업이 올 연말 끝나는 만큼 내년부터 2024년까지 새 정책을 시행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만 18~23세 고졸을 포함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에 연 최대 960만원을 지원하는 것이다. 그간 정부는 구직난에 빠진 청년-구인난에 빠진 중소기업을 매칭하기 위해 사실상의 인건비 현금성 지원을 펴왔는데 이번에도 비슷한 카드를 꺼냈다.
아울러 고용 시장 진입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군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귀 준비금 정책도 시행한다. 전역시 최대 1000만원을 모을 수 있도록 정부가 매칭해준다. 이 과정에서 정부 지원금은 1인당 250만원까지 제공한다. 자기개발비 연 12만원, 50% 수준의 온라인 수강료 지원(내년엔 80%로 확대) 등도 병행한다.
다만 정부는 단순한 현금성 지원에 그치지 않고 대기업, 공기업, 금융기관 등 양질의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도 병행할 방침이다. 다음 달 안에 정부 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민관 협력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정보기술(IT)·인공지능(AI)·디지털, 그린·바이오 등 고소득 유망 직종에서 청년 인력을 집중 양성한다. 이를 위해 기획재정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가 협력해 '기업 주도-정부 지원' 방식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확대할 방침이다. 주요기업의 훈련 기관을 통해 훈련시킨 뒤 기업이 직접 채용하거나 협력 업체에 대한 취업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외에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청년 구직촉진수당 지원인원 2만명 확대(15만→17만명) ▲고용증대 세액공제(청년 1인당 500만~1300만원) 등을 시행한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