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향후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유력하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주열 한은 총재의 임기 내 추가로 두 번 더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이 총재의 임기는 내년 3월 말까지다.
한은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75%로 인상했다. 가계대출 증가, 자산 가격 상승 등의 금융 불균형 현상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2분기 기준 전체 가계신용은 1805조9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총재가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경기 개선 정도에 맞춰 점진적으로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특히 현재의 금융 불균형이 더욱 커질 경우, 이에 따른 부작용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0.25bp를 한 번 올리는 것보다 두 번 연속 올렸을 때 통화정책의 효과는 더욱 커진다.
이와 관련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재 시장은 두 번 연속 금리 인상 가격을 선반영한 상태이므로,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하기에는 부담이 적다"며 "인상이든 인하든 연속적으로 시행할 때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오는 10월 또는 11월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추가 인상을 하지 않는다면 정책 효과는 거의 없고, 금리 인상을 안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 불균형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상태"라며 "금리를 올려 수요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0월 추가 금리 인상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세 역시 추가 금리 인상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꼽힌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는 데다 내수도 보복 소비로 인해 크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며 "추경 효과까지 감안하면 올해 성장률은 4.0%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향후 기준금리가 금융권의 시장금리 인상을 견인하게 되면 금융기관들로부터 돈을 빌려 쓴 취약계층과 자영업자, 한계 기업 등의 부실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한은의 통계를 보면 지난 6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81.5%가 변동금리로 돼 있다. 기준금리 변동이 장단기 금융채 금리에 반영되고 은행의 대출금리도 덩달아 오름세를 탈 경우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