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을 위협하는 노후된 어린이공원(왼쪽), 중심부가 썩어 부러질 우려가 큰 위험수 <사진제공=한국건설산업연구원>
조성한 지 20년 이상이 되는 도시공원이 전국 기준 34%, 서울은 6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공원 재정비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간 한국의 도시공원은 양적 팽창에만 집중해왔고 그 결과 시민들의 질적 만족도도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1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재영)은 '성숙도시 시대, 노후·저이용 도시공원 재정비 방안' 보고서를 통해 도시공원 노후화 실태를 분석하고,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공원을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다수의 도시공원에서는 노후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2018년 공원수 기준으로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공원은 34%, 10년이 넘은 공원은 66%에 이르고 있다.
공원은 수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오래될수록 좋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노후화 문제로 인해 일상적인 유지·관리를 넘어서는 수준의 대대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평가다.

양천구 넘은들공원 재정비사업 전후 변화 <사진제공=양천구청>
기본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공원 시설물의 신설, 교체 수요가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놀이터는 놀이기구 노후화 시 안전 문제가 발생하기에 재정비 수요가 잦다.
또한 과거 공원이 조성될 당시 가용자원이나 설계기술이 부족해 장소의 잠재적인 가치를 충분히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조성 당시 수목의 식수와 관련한 계획이 부족했고, 조성 후에도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곳도 많다. 이로 인해 위험수(부러질 우려가 높은 나무 등)가 방치된 곳도 상당수 존재한다.
이태희 부연구위원은 "공원 이용자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순한 면적이 아닌 공원의 질"이라면서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원 정책은 공원의 양적 확대에 치중해 온 반면, 기존 공원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상당히 소홀했다"고 말했다.

중랑구 꽃피울 어린이공원 재정비사업 전후 변화 <사진제공=중랑구청>
공공재로 분류되는 공원을 재정비하기 위해서는 공공 예산 투입 확대가 불가피하다.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공원 성능평가를 바탕으로 공원 개선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연계 가능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원은 제안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민간 재원도 적극 활용할 것을 주문했다. 실제 일본, 미국 등에서는 공원재정비에 민간 재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영국과 미국 등에서는 지역 주민이 클라우드펀딩 플랫폼과 SNS를 활용해서 사업비를 모금하고, 지자체를 압박해 추가적인 예산을 지원받아 주도적으로 공원을 재정비해 나가고 있는 사례가 많다.
ESG 경영이 강조되고 있는 분위기 속에서 기업 CSR 재원을 공원 재정비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 공원 내 기업홍보가 가능한 시설 설치를 허용하는 등 기업의 참여 동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부연구위원은 "공공재인 공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공공재원 투입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와 동시에 민간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