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트윈 및 활용분야(예시).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올해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디지털 트윈’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과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을 중점으로 하는 이 사업에는 총 4368억원이 투입된다.
국토교통부는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8~2022년)에 따른 ‘2021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은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국가공간정보기본법’에 따라 매년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올해 계획에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공간정보 생산 플랫폼 활성화 등 총 800개 사업에 4368억원을 투자하는 내용이 담겼다.
먼저 디지털 트윈 기술개발 및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활용 사업에 836억원이 투입된다. 자율주행, 스마트건설 등 신산업 기반으로서의 역할과 안전한 국토·시설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관련 기술개발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디지털 트윈 등의 기반정보인 정밀도로지도, 지하공간통합지도, 3D 지형지도 등 고정밀 공간정보 생산 등에 중점 투자한다.
공간정보에 신기술을 융복합하고 안전사고 예방 등에 필요한 고품질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사업에도 2637억원이 투입된다.
이와 함께 생산된 공간정보를 대민서비스 및 행정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플랫폼 구축 등에 1337억원이, 미래 신산업 지원을 위한 공간정보 구축 및 국가 지원사업에 394억원이 투입된다.
남영우 국토정보정책관은 "2021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을 계기로 공간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디지털 트윈 등 미래 신산업 육성 기반이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