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임온유 기자] "급매만 찾던 매수 대기자들의 마음이 급해지면서 주말 새 10건도 넘게 거래됐습니다. 계약서를 썼다 하면 신고가네요."(서울 양천구 목동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
토지거래허가제 시행을 하루 앞두고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영등포구 여의도동·양천구 목동 일대 아파트 매물이 급감하고 있다. 규제 회피를 위한 매수자들의 ‘막판 계약’이 집중되는 동시에 재건축 기대감에 집주인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어서다. 단기간 수요는 증가하는데 공급은 감소하면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는 분위기다.
26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현재 여의도동 아파트 매물은 411건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예고된 지난 21일 444건 대비 33건(7.4%) 감소했다. 특히 지난 1월 재건축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한 미성 아파트의 경우 닷새 만에 41건에서 33건으로 8건이나 줄어들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재건축의 시급성을 호소했던 시범 아파트의 경우에도 51건에서 44건으로 7건 감소했다.
여의도동과 함께 오는 27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는 목동, 압구정동 등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재건축 1차 안전진단을 조건부 통과한 목동신시가지 14단지는 48건에서 44건으로 4건 감소했다. 인근 1단지 역시 19건에서 15건으로 4건 줄었다. 최근 잇따른 조합설립으로 양도 가능한 매물이 한정된 압구정동의 경우 감소세가 더 뚜렷하다. 3구역에 포함된 현대14차의 경우 32건에서 22건으로 10건 감소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대지 지분 주거용 18㎡, 상업용 20㎡ 초과 부동산을 매입할 때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주택의 경우 구매 후 2년 동안 실거주 의무가 부여되기 때문에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불가능해진다. 이에 규제 전 계약을 성사시키려는 단기 수요가 집중되면서 이 일대 매물이 급감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목동에서는 주말 사이 10건 이상의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전해졌다. 목동 A 공인중개사사무소(공인)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되면 갭투자가 불가능해지니까 매수 대기자들이 다급해진 모양"이라면서 "금요일과 토요일 문의가 급증하더니 1단지에서만 2건이 거래됐다"고 말했다.
토지거래허가제가 재건축 기대감을 키워 집주인들이 매도 의사를 철회하는 것 역시 매물 감소의 원인이다. 오 시장은 앞서 재건축 활성화에 따른 집값 급등에 대처하기 위한 선제조치로 토지거래허가제를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여의도 B공인 관계자는 "집주인들이 토지거래허가제를 재건축 사인으로 받아들이고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면서 "사겠다는 사람은 계속 나오는데 쉽사리 거래가 되지 않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수요는 몰리는데 공급은 오히려 줄어들며 호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여의도동, 목동 일대 시범 아파트 118㎡(전용면적)의 경우 규제 발표 당일 전고가보다 2억원 높은 26억원에 거래된 것으로 전해졌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본부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되면 갭 투자가 불가능하고 계약허가신청서, 토지취득자금조달계획서 제출 등 절차가 까다로워지기 때문에 막판 매수가 몰리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거래량은 줄겠지만 개발 시그널이 분명해져 가격은 오히려 더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