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1월11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 주변에서 서울시와 국토교통부 개최로 열린 도심항공교통(UAM) 실증비행 행사에서 중국 이항사의 2인승 드론택시 'EH216'가 무인으로 시험비행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국토교통부는 드론의 활용도와 안전도를 높여 드론배송·드론택시의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K-드론시스템 실증 지원사업'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비행계획승인, 위치정보 모니터링, 주변 비행체와의 충돌방지 등을 지원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이다. '드론의 신호등'이라고 할 수 있는 K-드론시스템을 이용하면 비가시권 비행은 물론 여러 대의 드론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17년부터 K-드론시스템 연구개발(R&D) 사업에 착수했고, 지난해 11월 도심항공교통(K-UAM) 시연 행사를 통해 다수 드론을 동시에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대중에 공개했다.
K-드론시스템 실증지원사업에 선정되는 업체에는 R&D 기술 중 위치식별장치와 통신장비 등을 조기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드론개조·테스트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한다.
지원 규모는 사업 분야에 따라 3000만~3억원 내외로, 총 지원규모는 7억1000만원이다. 실증범위는 공항 분야, 도심 분야, 장거리 및 해양 분야 배송 등 3개다. 더 자세한 내용은 26일부터 국토부 드론정보포털과 항공안전기술원 누리집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진항 국토부 미래드론교통담당관 과장은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활용범위을 기존 가시권 내에서 비가시권까지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수단"이라며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비행가능지역 확대, 자동화 드론배송, 수소연료 등을 활용한 장거리 배송 등 다양한 가능성을 현실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