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변경안 (사진=국토교통부)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이 기존 9개 시·군(면적 3597㎢)에서 22개 시·군(1만2193㎢)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6일 제55차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를 개최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행복도시와 인접 지역간의 기능 연계와 환경 보전, 광역시설의 체계적 정비를 위해 광역계획권을 지정하고, 최상위 도시계획인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2006년 최초로 지정된 이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 정책여건 변화와 대전권, 청주권, 공주역세권 등 다른 광역계획권과의 중첩 문제로 개편 필요성이 계속 제기돼 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행복청과 충청권 4개 시·도가 광역상생발전정책협의회를 구성해 긴밀히 논의해 왔으며 국토부, 국무조정실과의 조율도 거쳤다.
새로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기존 행복도시권과 중첩된 대전·청주·공주역세권을 포함하고, 행복도시와 연계 발전이 가능한 일부 시·군을 추가해 총 22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광역계획권간 중첩 문제를 해소하고 행복도시권역의 효율성·실효성을 제고하는 등 충청권 상생발전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새로운 국토균형발전 전략으로 논의되고 있는 초광역 협력 및 메가시티 구현의 마중물 역할도 기대된다.
이달 중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변경안에 대한 관보 고시가 마무리되면, 행복청은 연말까지 공청회,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행복도시권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