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3·4년차 공백 앞둔 전공의들, “업무로딩·환자안전 막막”
박지현 회장, “내과 공백에 중환자·응급상황 대비해야...의료계 패러다임 바꾸는 계기 되길”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 19일 서울시의사회관 5층 강당에서 제23기 정기대의원총회를 개최했다 (사진=대한전공의협의회 제공) 내과 3, 4년차 레지던트 공백이 빠르면 12월부터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업무 로딩, 환자안전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 19일 서울시의사회관 5층 강당에서 제23기 정기대의원총회를 개최하고 내과 전공의 공백 대책 마련에 나섰다. 2017년 내과 전공의 수련 기간이 4년에서 3년으로 단축돼, 오는 2020년 내과 레지던트 3, 4년차가 동시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일선 수련병원에서 빠르면 오는 12월부터 내과 3, 4년차 레지던트가 한꺼번에 전문의 시험준비에 들어가게 되면서 전국 수련병원의 내과 레지던트 공백이 동시에 생기게 되는 셈이다. 이 문제의 궁극적인 해결책으로 입원전담전문의 추가 고용, 환자 수 제한 등이 거론되지만 대다수 수련병원에서는 별다른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서연주 부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