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0.29 07:55최종 업데이트 25.10.29 07:55

제보

스티븐 린 교수, NEJM서 AI 의한 '일차의료 대전환' 시사…"의사 역할, 지식 전달→환자 공감"

AI가 단순한 문서화 도구 넘어 임상 진료 결정 돕는 어시스턴트 역할로…의사 번아웃 감소도 도움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일차의료(Primary Care)에서의 의사 역할이 대전환 시기를 맞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스탠포드대학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인 스티븐 린(Steven Lin)은 22일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서 진행하는 팟캐스트 NOS(Not Otherwise Specified)에 출연해 이 같이 밝혔다. 

스티븐 린은 일차의료 의사이기도 하지만 스탠포드대학에서 '헬스케어 AI응용 연구소'를 설립하기도 한 인물이다. 

우선 그는 AI의 발전이 일차의료에 있어 현식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 과정에서 임상의사들의 역할도 변화할 것이라는 게 스티븐 린의 견해다. 더 이상 의학 지식만 많이 알고 있는 것이 아닌 AI 분석 결과를 인간의 판단과 공감으로 잘 포장해서 환자들을 대하는 기술이 중요해진다는 취지다. 

그는 "AI는 일차의료 의사들의 문서화 부담을 줄여준다. 연구에 따르면 환자 앞에서 1시간을 진료하면 컴퓨터 앞에서 추가로 2시간을 보내야 한다고 한다. 많은 의사들이 진료실에서 환자와 눈을 맞추지 못하고 컴퓨터를 바라보고 노트를 작성하는 데 시간을 보낸다"며 "AI는 자동 녹음과 노트 생성 등을 통해 필기자가 되고 환자 교육에도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스티븐 린은 "결국 미래엔 AI가 단순한 문서화 도구를 넘어 임상 진료 결정을 도와줄 수 있는 어시스턴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의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잠재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며 "극단적으로 생각해보면 이제 일차의료 의사는 더 이상 많은 의학 지식을 아는 것이 아니라 미래엔 AI가 제공하는 내용을 해석하는 방법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미래엔 AI가 더 정교해짐에 따라 많은 분석과 감별, 진단이 AI에게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래에 일차의료 의사의 역할은 무엇이 될까. AI의 분석을 인간의 판단과 환자에 대한 측은한 마음으로 잘 엮어 개별 환자들의 필요에 맞게 조정하는 능력이 필요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AI로 인한 일차의료 형식의 변화도 예상된다. 

스티븐 린은 "스탠포드병원과 다른 많은 기관들을 보면 우리가 받는 환자 포털 메시지 수는 실제 대면 진료 수에 비해 8:1 비율을 보인다. 이는 전통적인 클리닉 방문보다 환자 포털 및 문자 메시지를 통해 8배 많은 작업을 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이는 치료 제공 방식을 완전히 변화시키고 있다. 이 과정에서 AI 대형 언어 모델은 의사가 환자에게 회신하기 전에 편집할 수 있도록 초안을 작성해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AI로 인해 의사들의 시간 가용성이 늘어나자 일부 병원에선 슬프게도 추가 환자를 보도록 강요한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 일차의료 책임자로서 지난 4년 동안 우리 병원 의사 이탈자는 제로였다"며 "AI는 의사들의 번아웃을 줄이는 데 엄청난 개선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인간, 인간과 AI의 조합, 아니면 AI 단독으로 진료 결정을 내리는 데 어떤 방식이 더 나은가. 그 대답은 AI 단독이다. 이는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다. AI에 대한 우리의 걱정과 저항은 잘못된 의도가 아니지만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도구에 비해 우리가 열등하다면 실제로 환자에게 해가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문제"라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현재 아직 AI 단독으론 일차의료 진단을 할 순 없다. 이는 향후 의사 공동체 안에서 내려야 할 매우 복잡한 의사결정"이라며 "특히 과도한 AI 의존과 다음 세대 새로운 의사들이 과도하게 AI에 의존하도록 훈련받을 위험이 있다는 점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