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미국 연방 정부가 현재 진행 중인 mRNA 백신 개발 활동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앞으로 해당 연구에 더이상 투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에 대해 미국 국립보건원(NIH) 원장은 대중의 불신으로 해당 플랫폼이 더 이상 실현 가능하지 않다는 이유를 들었다.
미국 보건부(HHS)는 5일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을 통해 진행 중인 mRNA 백신 개발 활동을 단계적으로 종료하는 조치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다양한 계약 및 입찰의 취소 및 범위 축소가 포함되며, 약 5억 달러 규모의 22개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mRNA 기반 프로젝트는 시작하지 않을 예정이며, BARDA의 투자 펀드인 BARDA 벤처스를 관리하는 글로벌 헬스 인베스트먼트(Global Health Investment Corporation, GHIC)에도 mRNA 기반 주식 투자를 모두 중단하도록 지시했다.
HHS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Robert F. Kennedy Jr.) 장관은 "데이터에 따르면 mRNA 백신들은 코로나19와 독감 같은 상기도 감염 질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22개 mRNA 백신 개발 투자를 종료한다"면서 "그 자금을 바이러스가 변이해도 효과가 유지되는 더 안전하고 광범위한 백신 플랫폼으로 전환할 것이다"고 말했다.
NIH 제이 바타차리야(Jay Bhattacharya) 원장은 최근 기고문을 통해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미국의 봉쇄 정책을 비판하고 코로나19 백신 의무화 조치에 반대해온 인물이다.
바타차리야 원장은 기고문에서 "mRNA 플랫폼은 유망한 기술이다. 그 잠재력을 부정하지 않는다. 미래에는 암과 같은 질병 치료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면서 "그러나 광범위한 대중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백신, 특히 공중보건 비상사태 시 이 플랫폼은 중요한 시험대에서 실패했다. 대중의 신뢰를 얻는 것이다. 과학이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보호하려는 대중으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한 플랫폼은 공중보건 사명을 수행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불행하게도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공공의 신뢰를 관리하지 못했다. 이는 주로 위험 기반 접근 방식 대신 의무화 전략을 선택했고,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미국인들의 우려를 적절하게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대신 바타차리야 원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종류의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설계된 '보편적(universal)'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5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강조했다.
HHS와 NIH는 5월 베타-프로피오락톤(BPL) 불활성화된 전체 바이러스 플랫폼을 활용한 차세대 보편적 백신 플랫폼 '제너레이션 골드 스탠다드(Generation Gold Standard)'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새로운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추진한 '프로젝트 넥스트젠(Project NextGen)'을 대체하는 조치다.
당시 바타차리야 원장은 "제너레이션 골드 스탠다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다"면서 "이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백신 기술을 21세기 기술로 업그레이드해 백신 보호 범위를 특정 균주 제한을 넘어 확장하며, 오늘날의 위협뿐 아니라 미래의 위협에도 대비한다"고 설명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