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SK바이오팜이 5일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미국 매출이 분기 최대치를 경신하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의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22.1%, 전년 동기 대비 31.6% 성장한 176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41.1%, 전년 동기 대비 137.6% 증가한 619억원으로 집계됐다.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시장에서 분기 매출 1억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하며, 전분기 대비 15.6%, 전년 동기 대비 46.5% 성장한 1541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2분기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내 월 평균 신규 환자 처방 수(NBRx)는 1분기 월간 1600건, 2분기에 1800건으로 크게 성장했다. 이는 1분기에 진행한 NBRx 콘테스트 등 다양한 영업 강화 활동의 효과로 분석된다.
SK바이오팜 측은 "연초 계절적 비수기와 일시적 매출 정체 요인이 해소되고 내부 콘테스트 등의 마케팅 전략 효과가 본격화된 결과"라며 "하반기에는 소비자 직접(DTC, Direct-to-consumer)광고 등의 마케팅 효과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처방 차수를 앞당기는 'Line of Therapy' 콘테스트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환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입지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분기 실적은 핵심 제품인 세노바메이트의 고성장과 비용 효율화 전략이 맞물려 영업 레버리지가 크게 확대됐다"며 "핵심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선 상황"이라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확대와 연령대 확장을 통한 시장 확장도 모색하고 있으며, 연내 전신발작(PGTC)에 대한 적응증 확대를 위한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할 예정이다.
아울러 안정적인 수익 기반 강화를 목표로 연내 두 번째 상업화 제품의 외부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도입 예정인 제품은 세노바메이트와 같은 중추신경계(CNS) 질환 치료제다.
차세대 치료 기술 기반의 파이프라인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방사성의약품(RPT) 분야에 역점을 두고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며, 지난해 풀라이프 테크놀로지로부터 도입한 고형암 치료 후보물질 'SKL35501'을 중심으로 연내 1상 IND 제출을 준비 중이다.
표적단백질분해(TPD) 분야에서는 미국 현지 자회사인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를 중심으로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타깃을 겨냥한 단백질 분해제의 발굴·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AI 기반 뇌전증 관리 솔루션' 상용화 개발을 목적으로 6월 유로파마와 미국 내 조인트 벤처 설립하고 사업 초기 셋업을 진행 중이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