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제9기 정기 주주총회 개최 "AI 신약개발 추진"
종근당은 25일 오전 9시 충정로 종근당 본사에서 제9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총에서 2021년도 연결기준 매출액 1조 3,436억원, 영업이익 948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보고했으며 액면가 대비 40%인 주당 1000원을 현금배당하기로 의결했다. 또한 사외이사 강인수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를 재선임하고, 창동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신규 선임하기로 했다. 김영주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어려워진 경제상황과 대외변수에도 불구하고 주요 제품과 신제품의 견고한 성장을 바탕으로 3년 연속 매출액 1조원을 달성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올해 계획에 대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신약개발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는 등 미래 지향적인 신약개발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종근당홀딩스도 이날 제67기 정기 주주총회를 가졌다. 종근당홀딩스는 2021년도 연결기준 매출액 9260억원, 영업이익 344억원의 실적을 보고 2022.03.25
대웅제약, 올해 여름 펙수클루 출시 앞두고 학술대회에서 선공개
대웅제약은 최근 열린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학술대회에서 펙수클루정(펙수프라잔)의 3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으로 위벽에서 위산을 분비하는 양성자 펌프를 가역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을 갖는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 계열 의약품이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번 학술대회에는 23개국에서 총 570명이 참석했다. 부산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광하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펙수프라잔, 위장관 치료의 새로운 흐름(Fexuprazan, the new wave of GI treatment)'이라는 제목의 강의를 맡아 펙수클루를 소개했다. 국내 25개 병원에서 진행된 펙수클루 3상 결과에 따르면 펙수클루는 투여 8주 후 점막결손이 완전히 치유된 환자의 비율이 99.1%로 미란성 식도염에 대한 높은 치료율을 나타냈다.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 2022.03.25
루닛, 로슈-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AI 유방암 진단 솔루션' 수출 계약
루닛은 로슈(Roche) 및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등 글로벌 기업들과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AI 유방촬영술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중동 지역에 수출한다고 24일 밝혔다. 루닛은 그동안 GE헬스케어, 필립스, 후지필름 등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들과 계약을 맺고 AI 영상분석 솔루션을 납품해왔다. 하지만 이번 계약은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및 클라우드 기업과 함께 진행한 최초의 협력 사례로써 판매 채널을 다변화했다. 루닛은 이번 계약을 통해 향후 3년간 로슈 중동법인에 루닛 인사이트 MMG를 제공할 예정이다. 로슈는 MS애저의 웹 기반(Web-based) 클라우드를 활용해 중동지역 의료기관에서의 유방암 검진 시 루닛 인사이트 MMG를 사용할 계획이다. 루닛은 이를 위해 올 상반기 내에 루닛 인사이트 MMG Web 서비스를 중동시장에 런칭할 예정이다. 또한 로슈와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외에도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과 연동되는 제품 2022.03.25
충남대병원·한미약품, 의료 빅데이터 기반 코호트 연구·신약개발 협력 추진
충남대학교병원은 24일 행정동 3층 세미나실에서 한미약품과 의료 빅데이터 기반 코호트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연구 인프라 공동 활용을 통한 의료 빅데이터 기반 코호트 연구협력 체계를 확립, 목표지향적 공동연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주요 협약 사항은 ▲의료수요 충족을 위한 공동연구 추진 ▲신약 연구개발 협력 ▲연구를 위한 시설·인력·협력 네트워크의 공동 활용에 관한 사항 등을 연계·협력하기로 했다. 충남대병원은 중점연구사업의 일환으로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지원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기업연계 통계분석지원 과제를 공모해 원내·외 우수한 인력을 활용한 의료 빅데이터 협력 연구를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임상연구 활성화·데이터 활용 역량강화를 목적으로 우수 연구 성과 창출을 위해 연구비를 투입, 한미약품과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충남대병원 윤환중 원장은 "미래의료와 보건산업 혁신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확보와 활용이 무엇보다 중 2022.03.24
한미약품그룹 송영숙 회장 단독 경영체제 구축
한미약품그룹 한미약품그룹은 24일 오전 8시 30분부터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한미약품 제12기 정기 주주총회와 지주회사인 한미사이언스 제49기 정기 주주총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주주총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의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진행됐다. 전자투표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주 의견을 비대면으로도 청취했다. 먼저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는 이날 주총에서 사내이사 임기가 만료된 임종윤 사장의 재선임 없이 송영숙 회장 단독 경영체제를 구축하기로 의결했다. 이번 단독 경영체제는 ESG 경영과 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것으로 풀이되지만, 일각에서는 경영권 균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12년만에 한미사이언스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는 임 대표는 故임성기 전 회장의 장남으로, 지난해 10월유전체분석·분자진단 바이오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Dx&Vx)의 최대주주에 오른 데 이어 같은 해 12월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이와 함께 지난해 백신주권 확보를 위해 에스티팜, 녹십자 등과 2022.03.24
아이메디신-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뇌파 이용한 BCI 개발 협력
아이메디신은 카이스트(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와 뇌파를 실시간 처리해 다양한 BCI(Brain Computer Interface)를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아이메디신 강승완 대표이사, 김대근 이사, 김민정 부장 등과 이광형 KAIST 총장,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 학과장, 정용 KAIST 헬스사이언스 연구소장, 이상완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 연구센터장, 김만기 글로벌공공조달연구센터 책임교수 등 관계자가 자리했다. 이번 협약은 아이메디신의 기술력과 관련 연구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의 협업을 통한 연구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학과장의 주재로 진행된 본 협약식을 통해 다양한 BCI(Brain Computer Interface) 개발과 뇌파자동분석솔루션 iSyncWave™을 활용한 다양한 BCI 연구, C뉴로모듈레이션, 뉴로 피드백 등을 통한 KAIST 학생들의 정신 건강 관리 2022.03.24
IVI-SK바이오사이언스 박만훈상, 토레 고달 박사·드류 와이즈만·카탈린 카리코 교수 선정
국제백신연구소(IVI)와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도 IVI-SK바이오사이언스 박만훈상 수상자에 노르웨이 보건복지부의 세계보건 특별고문 겸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의 고문인 토레 고달(Tore Godal) 박사를 수상자로, 미국 펜실베니아대학의 드류 와이즈만(Drew Weissman, 미국) 교수와 카탈린 카리코(Katalin Karikó, 미국·헝가리) 교수를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박만훈상’은 故박만훈 SK바이오사이언스부회장의 백신분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돼 올해 처음 시상하며, 백신 연구개발과 보급 분야에 크게 공헌한 2명의 개인 또는 기관을 선정한다. 시상식은 고인의 타개 1주기를 맞는 오는 4월 25일 IVI본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매년 수상자로 선정되는 두 명에 각각 1억원의 상금을 지원한다. 선정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제롬 김 IVI 사무총장은 "제1회 박만훈상 수상자로 고달 박사와 와이스만·카리코 교수가 선정된 것을 진 2022.03.24
JW중외제약, 온코크로스 AI 활용 혁신신약 공동 개발 추진
JW중외제약은 AI 신약개발 벤처기업 온코크로스와 인공지능(AI) 기반의 혁신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계약에 따라 온코크로스의 AI 플랫폼인 ‘랩터(RAPTOR) AI’를 활용해 JW중외제약이 개발하고 있는 신약 파이프라인의 신규 적응증을 탐색하고 개발 가능성을 검증한다. 랩터(RAPTOR) AI는 신약후보물질이나 기존 개발된 약물에 대한 최적의 적응증을 스크리닝하는 R&D 플랫폼으로, 임상 성공 확률을 높여주고 개발 기간을 단축시켜준다. 김이랑 온코크로스 대표이사는 "우수한 신약후보물질들을 보유한 JW중외제약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게 되어 기쁘다"며 "온코로스의 AI 기술이 여러 국내외 제약사들의 신약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상호 윈윈하는 협력 사례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JW중외제약은 앞으로 자체 신약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플랫폼을 보유한 바이오텍들과의 연구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방 2022.03.24
SK바이오팜, 올해 뇌종양 신약·디지털치료제 개발…"CNS 분야 M&A 추진"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지난해 글로벌 탑4 시장 진출과 역대 최대 매출·영업이익을 기록한 SK바이오팜이 올해는 뇌전증 혁신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영업망 확대 뿐 아니라 뇌종양·뇌전이 항암신약, 디지털치료제(DTx) 등 파이프라인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SK바이오팜 조정우 대표이사·사장은 24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포트폴리오 확대 계획을 소개했다. 지난해 SK바이오팜은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글로벌 4대 시장에 세노바메이트 진출을 완료했고, 미국 매출 증가, 중국 현지 법인 설립, 캐나다 기술수출 성과 등으로 매출 4186억원, 영업이익 953억원을 달성했다. 올해는 ▲세노바메이트 미국 매출 신장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 ▲제품 출시 및 도입 가속화 ▲외부 유망기업과의 협력 확대 등을 통한 매출 2배 이상 성장이라는 외형 확장과 함께 내실을 다져나가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조 대표는 "매출 신장을 위해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인 SK라이프사이언스를 통한 전방위 2022.03.24
코로나 백신 2차접종만으론 한계...6개월 후 효과 급격 저하·오미크론 변이 0에 가까워
국내 코로나 확진자 1000만명 돌파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년 2개월만에 1000만명을 돌파하고 일일 신규 확진자가 연일 40만명 안팎을 기록하는 등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23일 0시 기준 누적 사망자는 1만3432명, 누적 치명률은 0.13%를 기록했다. 위중증 환자는 2주 넘게 넘게 1000명대로, 의료 포화 상태로 지적되고 있다. 코로나19는 언제까지 계속되는 것일까.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위해 백신 효과와 재감염률, 후유증 등에 대한 의학 연구결과를 살펴본다. ①코로나 백신 2차접종만으로는 한계...6개월 후 효과 급격 저하·오미크론 변이 0에 가까워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최근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백신 접종완료 기한 증가 등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우후죽순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부스터샷 접종시 6개월이 지나도 입원예방 효과가 75% 이상 유지되고 오미크론에 대한 중화 항체도 확연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공공 2022.03.24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