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산하 계열사·GC녹십자의료재단,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 성료
GC녹십자는 산하 3개 계열사와 GC녹십자의료재단이 국내 플래티넘 스폰서로 공동 참가한 '제24회 세계임상화학회(IFCC Seoul 2022)'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8일 밝혔다. GC녹십자의료재단과 GC녹십자MS, GC셀, GC지놈은 이번 학회에서 부스, 학술세미나를 운영해 우수한 진단검사 서비스로 주목을 받았으며, 판로 개척 및 해외시장 진출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IFCC 행사 기간동안 유럽 및 동남아시아 3개 파트너사와 글로벌 진단검사 서비스 협약을 체결했다. 해당 기업은 헝가리의 홀드인베스트(Holdinvest)와 보스니아의 폴리클리니카 아트리움(Poliklinika Atrijum), 동남아시아의 진단검사 시장을 대표하는 태국의 방콕임상실험실(Bangkok Medical Laboratory)까지 총 3개사다. 재단은 헝가리 소재 Holdinvest사와의 계약을 시작으로 국내 수탁기관 중 최초로 유럽지역 업체에 진단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태 2022.07.08
휴젤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스페인 품목허가 획득
휴젤은 스페인 의약품위생제품청(AEMPS, Spanish Agency of Drugs and Health Products)으로부터 미간주름을 적응증으로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Botulax, 수출명 : 레티보(Letybo))’ 50Unit(유닛)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8일 밝혔다. 휴젤은 이번 스페인을 마지막으로 당초 목표로 했던 유럽 주요 11개국 품목허가 획득을 마무리했다. 스페인은 앞서 승인을 받은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와 함께 유럽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빅5 국가 중 하나로 연평균 13%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장 규모는 2022년 약 500억원에서 2025년 약 7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휴젤은 현지 시장 특성에 맞춘 차별화된 영업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올해 스페인 시장 론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이다. 의료진과 의료기관을 위한 트레이닝부터 KOL(Key Opinion L 2022.07.08
임성기재단, 극희귀질환 연구지원 공모 이달말까지 접수
한미약품은 임성기재단이 연간 4억원 규모로 공모 중인 '2022 희귀난치성 질환 연구지원 사업'에 대한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소아염색체 이상에 따른 극희귀질환의 기초 및 임상연구’로 분야가 지정된 이번 공모 접수 마감은 이달 31일이다. 재단은 공모 첫 해 약 4억원 규모로 지원이 이뤄지는 이번 사업을 통해 희귀질환 병리 기전 규명에서부터 치료제 임상 단계까지 전 주기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임성기재단은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매우 커 해당 분야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환자 수가 극히 적어 치료제 개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공익적 측면에서 이 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성기재단은 “이번 연구 공모 분야인 ‘극희귀질환’은 국내 환자 수가 연간 200명 이하로 유병률이 매우 낮은데다, 별도의 질병 분류 코드도 존재하지 않는 질환도 있어 환자나 가족들이 매우 큰 고통에 빠져 있다”며 “극희귀질환에 대한 연구 지 2022.07.08
한미약품-대한안과의사회, 빅데이터 기반 안과 치료 지침 공동 연구 추진
한미약품과 대한안과의사회가 빅데이터 기반의 안과 질환 치료 지침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한다. 한미약품은 대한안과의사회와 이 같은 내용의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안과 질환에 대한 역학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이 협약에 따라 한미약품과 대한안과의사회는 한국인 다빈도 안과 질환에 대한 광범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안과 질환별 유병률과 추정 인구, 처방 약물 패턴 등 객관적 데이터를 구축, 안과 진료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팩트시트(Fact sheet)를 제작·배포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빅데이터 기반 진료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공감해 지난 2019년 회사 내에 '데이터 사이언스팀'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다양한 질환 분야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 등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다각화된 빅데이터 연구를 위해 여러 학회 및 병원들과 업무 협력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을 토대로 최근 5년여간 1000회 가량의 컨설팅 2022.07.08
루닛, 일본시장 판매 확대…제품 출시 6개월 만에 도입 병원 100곳 돌파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이 지난해 말 AI 영상진단 솔루션을 일본에 출시한지 6개월 만에 도입 병원 100곳을 돌파하며 일본시장을 본격 확대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이로써 상반기 일본 매출도 지난해에 비해 약 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도쿄의 대규모 스크리닝 센터와 오사카의 국립병원 등 일본 내 여러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과 중소형 의료기관 등 다양한 규모의 기관에서 루닛 제품을 도입한 점이 눈에 띈다. 루닛은 지난 2019년 일본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및 의료용 엑스레이 의료기기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인 후지필름과 파트너십을 맺고 일본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이후 지난해 8월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로부터 AI 기반 흉부 엑스레이 영상분석 솔루션 'CXR-AID'를 정식 승인받고 지난해 말 CXR-AID를 일본시장에 출시했다. 루닛이 국내시장에 제품을 출시한지 2년 만에 도입 병원 100곳을 돌파한 것에 비하면 제품 출시 6개월 만에 일본 내 1 2022.07.08
고덱스 비롯 급여 재평가 탈락 위기…셀트리온제약 "이의신청 제출 예정"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올해 6개 성분, 497개 제품의 급여 적정성 재평가가 시행된 가운데, 셀트리온 고덱스 캡슐 1개 제품과 스트렙토키나제·스트렙토도르나제 성분 총 57개(원료약 1개 제외) 제품이 급여 퇴출 위기를 맞았다. 알마게이트, 티로프라미드염산염은 급여적정성을 인정받았고 에페리손염산염, 알긴산나트륨은 일부 적응증만 인정받아 급여 적용이 축소될 전망이다. 지난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22년 제7차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열고, 결정신청 약제의 요양급여 적정성과 건강보험약제 급여적정성 재평가를 심의했다. 그 결과 2022년 건강보험약제 급여적정성 재평가 대상 약제는 ▲스트렙토키나제·스트렙토도르나제(streptokinase-streptodornase) ▲알마게이트(almagate)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에페리손염산염(eperisone hydrochloride) ▲티로프라미드염산염(tiroprimide hydrochloride) ▲아데닌염산염, 2022.07.08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시대...임상 빅데이터와 결합해야 의미있는 정보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디지털헬스아카데미 ①VR 디지털치료제, 마약성 진통제 남용 해소 등 처방 옵션 확대 ②의학교육부터 로봇수술∙협진외래까지 적용 가능한 의료 메타버스 ③치매 진단과 예방에 도움을 주는 디지털치료제 ④유전체, 건강보험 등 임상 빅데이터 결합해야 의미있는 정보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유전체(게놈, Genome) 분석은 3~4년 안에 무료로 전환되지만, 이를 보관하고 분석할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 무엇보다도 의미 있는 정보로 만들기 위해서는 임상현장 빅데이터와의 결합이 이뤄져야 한다." 지놈인사이트 주영석 공동대표는 7일 '100달러 게놈 시대. 우리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를 주제로 한 이화여자대 생명의료법연구소 디지털 헬스 아카데미에서 이같이 밝혔다. 유전체는 한 개체의 모든 유전 정보를 뜻하며, 유전자와 유전자가 아닌 부분을 모두 포함한 총 염기서열이다. 보통 DNA에 저장돼 있으며 일부 바이러스에는 RNA에 있다. 즉 인간 각각의 세포가 2022.07.08
[슬립테크] JCF테크, 비접촉 수면 상태 측정 '맥케어'·데이터 기반 건강정보 '슬립닥터'
제3회 국제수면건강산업박람회 슬립테크2022(SleepTech2022) ‘2022 대한민국 꿀잠 프로젝트, 제3회 국제수면건강산업박람회 슬립테크2022(SleepTech2022)‘가 오는 7월 15일(금)~17일(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D홀(3층)에서 개최됩니다. ‘슬립테크2022’는 국민들에게 수면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워 수면장애를 하나의 질환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날로 성장하는 수면산업 성장에 일조하기 위해 목적을 담고 있다. 이번 박람회는 대한민국 최대 의사 포털 메디게이트를 운영하는 메디씨앤씨와 한국수면기술협회가 주최하고 메디게이트뉴스가 주관합니다. 2020년 제1회와 2021년 제2회 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슬립테크 기반을 마련했다면 한층 더 수면건강과 수면산업의 가시적인 제품과 기술을 보여주기 위한 자리로 제3회 박람회를 채웁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슬립테크2021'에 참가하는 기업들을 통해 수면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제품, 서비스, 기술 등을 소개합니다. ① 2022.07.08
한국팜비오, 성인호르몬결핍증 진단 마크릴렌 라이선스계약 체결
한국팜비오는 캐나다 제약사 에터나 젠타리스와 성인 성장호르몬결핍증(AGHD)을 진단하는 '마크릴렌(성분명 마시모렐린)'의 국내 독점 공급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성장호르몬결핍증은 인체의 여러가지 호르몬 중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해 유년기에서 시작될 경우 저 신장, 성장속도 감소, 심혈관계 장애, 동맥경화, 인슐린 저항성 등 과 같은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기존 성장호르몬결핍증 진단은 긴 시간 동안 여러 번에 걸쳐 채혈도 필요하고 자극검사를 통해 파동적 분비 양상을 보이는 성장호르몬을 진단해야 하기 때문에 자극검사에 대한 이상반응 모니터링, 다빈도 채혈로 인해 입원이 필요했다. 그러나 마크릴렌은 경구용으로 복용 이후 약 1시간 30분동안 4개의 혈액샘플만 채취하면 된다.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 성장호르몬 결핍증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마크릴렌은 기존 인슐린과 아르기닌 부하 검사와 비교해 재현성이 높고 정확도가 우수하며 절차가 매우 간편한 검사라고 2022.07.07
대웅제약, 국내 첫 펙수클루 심포지엄 ‘WE are the ONE‘ 개최
대웅제약은 지난 6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펙수클루(Fexuclue) 런칭 심포지엄 'WE are the ONE'을 현장 100여명, 온라인 5000여명의 의료진 참가 속에 성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현장·온라인 2개 채널, 총 3가지 플랫폼으로 동시에 진행됐다. 특히 온라인의 경우 웨비나 닥터빌을 통해 의료진의 상황과 성향에 맞춰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좌장을 맡은 최명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교수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심포지엄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최신 지견 ▲펙수클루의 주요 임상 결과 및 질의응답 시간으로 구성됐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최신 지견’ 세션에서는 김정환 건국대학교병원 교수가 위식도역류질환 최신 가이드라인과 PPI제제의 미충족 수요(unmet needs)가 무엇인지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서, ‘펙수클루의 주요 임상 결과’에 대해서는 오정환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교수가 펙수클루의 개발 과정부터 주 2022.07.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