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2030년까지 전세계 50만명 이상 암 환자에 혁신 치료 혜택 제공할 것"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길리어드는 유방암, 거대 B세포 림프종 등 주요 고형암과 혈액암 분야에서 6개 암종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승인을 받았고, 14개 암종의 임상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트로델비는 삼중음성 유방암 외에도 전이성 방광암, 비소세포폐암 등 다양한 고형암 분야에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 중입니다. 길리어드는 2030년까지 유방암을 포함해 폐암, 방광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의 치료 혁신을 통해 전 세계 50만 명 이상의 암 환자에게 치료 혜택을 제공하겠습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가 7일 전이성 삼중음성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의 국내 출시를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트로델비의 국내 출시 의의와 국내 암 환자에게 기여하기 위한 항암제사업부의 포부를 밝혔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의학부 이주연 상무는 길리어드의 국내 암 환자들을 위한 항암 영역에서의 노력과 비전을 소개하며, 국내 암 치료 환경을 고려한 혁신적인 항암 2023.11.07
BMS, 오름테라퓨틱의 ORM-6151 프로그램 인수…ADC 포트폴리오 강화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BMS(Bristol Myers Squibb)가 항체약물접합체(ADC)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기 위해 한국 생명공학 기업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의 후보물질을 사들였다. 오름은 7일 BMS가 ORM-6151 프로그램을 인수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ORM-6151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또는 고위험 골수형성이상증후군 환자 치료제로 개발 중인 퍼스트인클래스(first-in-class) 항-CD33 항체 기반 GSPT1 저해제로,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상 임상시험을 허가 받았다. 계약에 따라 BMS는 선급금 1억 달러를 지불하고 ORM-6151 프로그램을 인수했으며, 오름은 마일스톤으로 총 1억8000만 달러를 지급받을 수 있다. 다른 재정적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 오름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경로를 통해 암세포 내 표적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분해하는 새로운 분자 접착제 분해제 페이로드(payload)를 2023.11.07
셀트리온헬스케어, 3분기 매출 6474억원…누적 1조6770억원으로 연매출 2조원 돌파 기대
셀트리온헬스케어가 7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2023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476억원, 영업이익 505억원, 당기순이익 44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역대 최대 분기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3분기까지 총 1조6770억원의 누적 매출을 기록해 연매출 2조원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전 제품의 글로벌 처방이 견고한 가운데 북미 지역에서 인플렉트라(성분명 인플릭시맙, 램시마의 미국 제품명) 및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판매가 늘었고, 유럽에서는 램시마SC(피하주사제형) 및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등 수익성 높은 후속 제품의 처방이 확대되며 매출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의 경우 미국 등 글로벌 전역으로 직접판매(직판)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인력 확충 및 의약품 운반 등 제반비용이 증가해 일시적인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비용 집행이 이뤄지면서 영업이익률은 7.8%를 기록해 전분기 대비 개선됐으며, 순이익은 영업외손익의 개선 등을 통해 전 2023.11.07
셀트리온, 3분기 매출 6723억·영업이익 2676억원…역대 분기 최대 달성
셀트리온은 2023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723억원, 영업이익 2676억원, 영업이익률 39.8%를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분기 최대 기록으로,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1% 늘었고 영업이익도 25.2%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6.7%p 늘어난 영업이익률을 보였다. 3분기는 미국 및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주력 바이오의약품 점유율 확대와 신규 품목의 시장 판매가 본격화됨에 따라, 품목별 고른 매출이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다. 특히, 램시마 등 주요 바이오시밀러 품목이 견조한 점유율을 유지하는 가운데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등 차세대 품목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성장을 견인했다. 이와 함께 이스라엘 테바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매출이 더해지며 전년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성장했다. 셀트리온의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주력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2023.11.07
하반기에도 ADC 거래 이어져…빅파마 관심 꾸준한 가운데 중국기업의 기술수출 눈길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아스텔라스제약(Astellas Pharma)의 파드셉(PADCEV, 성분명 엔포투맙베도틴)이 요로상피암 1차 치료 3상 임상시험에서 MSD의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병용요법으로 표준 치료 대비 사망 위험을 53% 줄이면서 기립박수를 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개발한 엔허투(Enhertu, 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역시 지난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2)에서 HER2 저발현 유방암 환자의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36% 낮추며 기립박수가 쏟아졌다. 이처럼 ADC가 획기적인 생존 데이터를 선보이면서 새로운 블록버스터 항암제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다. 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억 달러(약 1조3000억원) 이상 규모의 파트너십 거래 5건 중 1건이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 2023.11.07
모더나, mRNA 연구 활성화 위한 '글로벌 펠로우십 프로그램' 전개
모더나 mRNA 치료제 및 백신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글로벌 펠로우십(Global Fellowship) 프로그램에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나건 교수 연구실의 정하윤 박사가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선정된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윤지현 교수에 이어 두 번째 한국인 연구자가 이름을 올렸다. 모더나의 글로벌 펠로우십은 선택된 치료분야와 mRNA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선발된 40여 명의 연구자들에게 1~3년간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mRNA 과학, 감염질환, 면역항암, 맞춤형 신생항원치료제(INT), 희귀질환,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등을 중점으로, 기초 및 임상의학, 역학, 약리학, 간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 기회를 제공한다. 선정된 연구자는 수행 기간 동안 최대 17만5000달러의 급여와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번 글로벌 펠로우십에 선정된 정하윤 박사는 mRNA를 비강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2023.11.07
티움바이오, 미국 면역항암학회서 TU2218 1상 바이오마커 데이터 공개
티움바이오가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에서 면역항암제 ‘TU2218’의 주요 바이오마커 분석을 포함한 임상 1a상의 결과를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SITC에서 발표한 TU2218 단독투여 임상 1a상(임상등록번호 NCT05204862) 포스터에는 ESMO 2023에서 발표했던 안전성 및 내약성 결과 외에도, 주요 바이오마커(biomarker) 분석 결과가 포함됐다. 포스터에 따르면, TU2218을 7일간 투여했을 때 TGF-ß 신호전달에 의해서 발현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진 CTGF, TGF-ß 등 주요 바이오마커의 혈중농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TGF(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의 혈중농도는 투약 전과 비교해 투약 7일 후 최저 용량군 15mg BID에서 평균 27% 감소했으며 최대 용량군 135mg BID 투약 시에는 평균 47.8%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키트루다(Keytruda)와 병용 투약 임 2023.11.06
와이바이오로직스, '바이오 유럽 2023' 참가…파이프라인 기술이전 논의
와이바이오로직스가 6~8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바이오 유럽(BIO Europe) 2023'에 참가한다고 6일 밝혔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이번 바이오 유럽에서 ‘아크릭솔리맙(YBL-006)’의 기술이전 가능성을 타진한다. 아크릭솔리맙은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자체 기술로 발굴한 국내 최초의 PD-1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한국과 호주, 태국 등 3개국에서 임상 1/2a상을 진행한 뒤 7월 임상 시험결과보고서(CSR)를 수령했다. YBL-004를 포함한 초기 단계의 파이프라인에 대해서도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YBL-004는 염증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TNF-α와 인터루킨-17(IL-17)의 활성을 동시에 저해하는 이중항체 신약 후보물질로, 2017년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의 지원과제에 선정됐다. 또한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사 플랫폼 기술의 사업화를 위해 다수의 파트너링 미팅을 추진한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현재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 ‘Ymax 2023.11.06
한국로슈 '룬수미오', 재발성 또는 불응성 소포성 림프종 치료제로 국내 허가
한국로슈가 CD20xCD3 이중 특이항체 ‘룬수미오(성분명 모수네투주맙)’가 두 가지 이상의 전신 치료 후 재발성 또는 불응성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룬수미오는 글로벌 혁신제품 신속심사 지원(GIFT, Global Innovative products on Fast Track) 1호 의약품이다. GIFT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질환 또는 희귀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으로, 기존 치료법이 없는 치료제 등의 신속한 제품화를 돕는 제도다. 룬수미오는 ‘기존 치료제가 없는 의약품’에 해당돼 GIFT 프로그램 1호 제품으로 2022년 11월 지정됐다. 소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은 림프 조직의 세포가 악성으로 전환되어 생기는 비호지킨 림프종(Non-Hodgkin Lymphoma, NHL)의 한 종류다. 증상이 경미하고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약 80% 2023.11.06
한국오가논 프로페시아, 남성형 탈모 환자 지원 앱 세계 최초 한국 출시
한국오가논이 남성형 탈모 치료제 프로페시아 처방 환자들을 위한 남성형 탈모 환자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국내 최초 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앱은 프로페시아 처방 환자들이 병원 밖에서도 프로페시아® 복약 관리 및 탈모 치료과정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 스스로 자신의 모발 사진을 촬영해 기록함으로써 모발성장 과정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는 탈모 치료 지원 프로그램과 모발 사진 촬영 및 약 복용을 위한 알림 기능 설정, 프로페시아 복용 및 탈모 질환 관련 정보성 컨텐츠를 제공한다. 특히 모발성장 과정 그래프에서는 사용자 가이드라인에 따라 환자 본인의 두피 사진을 찍으면 월 별로 두피 부위별(윗면, 정면, 우측면, 좌측면)로 나타나는 모발 성장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의 모발 이미지를 바탕으로 부위별 모발 성장 수치가 분석되며, 분석한 수치는 그래프로 자동 변환되어 모발 성장 과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앱은 병원과 약국에서 제공되는 보안 설정된 QR 코드를 통해 2023.11.0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