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신형록 전공의의 안타까운 과로사, '가성비 좋은 대한민국 의료'에 갈아넣어지는 젊은 전공의들
#60화. 신형록 전공의 산재 인정, 주 80시간 근무 전공의법의 꼼수 지난 2월, 인천의 한 종합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2년차 전공의 신형록(33)씨가 당직실에서 사망했다. 그는 사망 직전 1주일동안 업무시간이 115시간에 달했다. 이전 12주 동안 근무시간 또한 평균 98시간 이상이었다. 그는 심장에 관련된 과거력이 전혀 없었다. 나이는 불과 33세였다. 과거력이 깨끗한 젊은 남성이 심장 질환으로 급사할 가능성은 얼마나 낮을까. 이에 대해 근로복지공단은 지난 5일 그의 사망을 업무상 질병으로 판단하면서 산업재해로 인정했다. 전공의의 과로 문제는 하루 이틀 문제가 아니다. 20~30대의 가장 건강한 청년들을 말 그대로 ‘가성비 좋은 대한민국 의료’를 위해 갈아 넣고 있다. 2~3일 동안 한숨도 못 잔 상태로 수술실이나 중환자실에 들어가는 일은 일상다반사다. 예전에도 그래왔고 지금도 그렇다. 하지만 이 모든 과로와 중노동이 ‘미래의 전문의’라는 명목 하에 묵인돼 왔다. 이런 과로를 막 2019.08.09
산부인과의사 법정구속은 부당…불확실한 의료의 특수성 고려해야
메디게이트뉴스는 2019년 여름방학을 맞아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화 실습에 참여했습니다. 의대생·의전원생 인턴기자들은 다양한 현장과 국회 토론회, 인터뷰, 강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의료현안을 생각해보고 미래 의료의 방향성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부족하고 깊이가 없을 수 있지만 미래 의사들의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미래의사의 생각 ①문재인 케어, 국고 지원 확대해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재정 대책 마련부터 ②원격진료, 대면진료와의 간극 극복 가능할지부터 고려해야 ③의료 인공지능 시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필요한 의료인 소양 ④산부인과의사 법정구속은 부당, 의사의 최선의 진료를 위해 사회도 함께 노력하길 [메디게이트뉴스 이영민 한림의대 인턴기자 본4] 나는 의사를 법정 구속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못한다. 의사라는 직업의 특성상 언제나 의료의 불확실성 앞에 놓이기 때문이다. 2016년 5월 경상북도 안동시 소재 산부인과 의원에서 사산아 분만 후 갑작스러운 태반조기 2019.08.09
신라젠 임상 조기종료 사건을 보며…천국에서 안타까워 부르짖는 소리 '냉정하라!'
[메디게이트뉴스 배진건 칼럼니스트] 2016년 9월 5일 세메론 대표이사 진재호 박사는 세상 소풍을 마감하고 천국으로 떠났다. 그 이듬해 7월 30일 페이스북에 친구의 생일이 떴다. 그냥 지나치기가 이상했다. “재호, 생신축하드립니다. 하늘에서도”라고 타임라인에 남겼다. 나만 홀로 그를 그리워하며 글을 남기지 않았다. 여러 페친들이 글을 남겼다. 지난 7월 30일 아침에도 진 박사의 생일이 떴다. 3년째 그의 생일날 아침에 나는 미소를 짓는다. 그와의 기억나는 에피소드가 있기 때문이다. 한 바이오투자사는 2013년 보건복지부 주도로 만든 1000억원 규모의 제약펀드를 결성했다. 필자는 제약펀드 투자를 위한 자문위원회에 참여하고 2015년인가 진 박사와 같이 신라젠에 대한 투자심의를 한 적이 있다. 백시니아(우두) 바이러스로는 죽어도 약이 안 된다는 강한 논리였다. 결국 투자가 진행되지 않았다. 문제는 그 다음부터다. 해가 지나고 시간이 갈수록 신라젠의 주가가 무서운 속도로 오르는 것 2019.08.09
의료 인공지능 시대, 필요한 의대 교육은…다분야 전문가 협업·인공지능 시대의 윤리의식·변화된 시대의 학습능력
메디게이트뉴스는 2019년 여름방학을 맞아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화 실습에 참여했습니다. 의대생·의전원생 인턴기자들은 다양한 현장과 국회 토론회, 인터뷰, 강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의료현안을 생각해보고 미래 의료의 방향성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부족하고 깊이가 없을 수 있지만 미래 의사들의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미래의사의 생각 ①문재인 케어, 국고 지원 확대해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재정 대책 마련부터 ②원격진료, 대면진료와의 간극 극복 가능할지부터 고려해야 ③의료 인공지능 시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필요한 의료인 소양 ④산부인과의사 법정구속은 부당, 의사의 최선의 진료를 위해 사회도 함께 노력하길 [메디게이트뉴스 오승탁 인턴기자 경희대 의학전문대학원 본4] 의료 현장은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가령 인공지능 헬스케어 기업 루닛의 '루닛 인사이트(Lunit INSIGHT for chest radiology nodule det 2019.08.09
원격의료 허용, 대면진료와의 간극 극복해야
메디게이트뉴스는 2019년 여름방학을 맞아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화 실습에 참여했습니다. 의대생·의전원생 인턴기자들은 다양한 현장과 국회 토론회, 인터뷰, 강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의료현안을 생각해보고 미래 의료의 방향성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부족하고 깊이가 없을 수 있지만 미래 의사들의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미래의사의 생각 ①문재인 케어, 국고 지원 확대해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재정 대책 마련부터 ②원격진료, 대면진료와의 간극 극복 가능할지부터 고려해야 ③의료 인공지능 시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필요한 의료인 소양 ④산부인과의사 법정구속은 부당, 의사의 최선의 진료를 위해 사회도 함께 노력하길 [메디게이트뉴스 오승탁 인턴기자 경희대 의학전문대학원 본4] 한동안 수면 위로 가라앉았던 원격의료 논란이 강원도 규제특구 지정으로 다시 불거졌다. 지난 7월 24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전국 7곳의 규제자유특구를 발표한 가운데 강원도에는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특례가 부 2019.08.09
문재인 케어, 건강보험 보장률 70%에 집착해 필수의료 소외·급여화 늘어나 의료이용 증가
메디게이트뉴스는 2019년 여름방학을 맞아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특성화 실습에 참여했습니다. 의대생·의전원생 인턴기자들은 다양한 현장과 국회 토론회, 인터뷰, 강연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쏟아지는 의료현안을 생각해보고 미래 의료의 방향성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부족하고 깊이가 없을 수 있지만 미래 의사들의 생각을 담아봤습니다. 미래의사의 생각 ①문재인 케어, 국고 지원 확대해도 '밑빠진 독에 물 붓기…재정 대책 마련부터 ②원격진료, 대면진료와의 간극 극복 가능할지부터 고려해야 ③의료 인공지능 시대, 급변하는 의료환경에서 필요한 의료인 소양 ④산부인과의사 법정구속은 부당, 의사의 최선의 진료를 위해 사회도 함께 노력하길 [메디게이트뉴스 이영민 인턴기자 한림의대 본4] 문재인 케어의 목표로는 다양한 것들이 있겠지만 그 중 하나를 꼽자면 의료 보장성을 70%로 강화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국민이 내야할 의료비 중 많은 항목들에 대해 국민들이 부담하는 비율을 줄이고 2019.08.09
유나이티드이미징, 2019 K-Hospital 전시회서 '3T MRI '선봬
유나이티드이미징은 2019 K-Hospital 전시회에서 '3T MRI'를 선보인다고 8일 밝혔다. 이번 K-Hospital에서 유나이티드이미징이 선보일 장비는 uMR 790 모델로 마그넷을 직접 설계 생산해 초전도마그넷의 품질 및 균질성에 대해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 제품은 3T 이상의 장비에서의 di-electric 효과로 인한 이미지 아티팩트를 줄이기 위해 18kW 출력의 RF앰프 2대를 사용해 Body Transmit Coil과 Dynamic Multi Pole Dual Source Optimization을 통해 최적화된 RF 전송을 구현했다. 또한 48 채널의 RF수신채널을 확보해 다양한 코일과의 결합을 통해 신호처리의 효율을 극대화했다. 뿐만 아니라 날로 대두되는 MRI 촬영 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uCS processing 엔진을 통래 기존의 Compressed Sensing의 단독사용이 아닌 상황에 따라 Parallel Imaging & Partial-Fo 2019.08.08
2019년 하반기 이후 주택 시장 전망
[KB Doctor's 자산관리 전문가 칼럼] 부동산, 세무, 투자전략 등 KB금융그룹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WM스타자문단의 연재 칼럼을 통해 지혜로운 자산관리를 위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KB Doctor's 자산관리 전문가 칼럼과 관련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이메일(KBG105781@kbfg.com)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 2019 부동산 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 2. 올해 놓치지 말아야 할 부동산 절세 포인트 3. 2019년 자산배분 전략 4. 상가 투자는 세입자와 공동 창업하는 것 5. 1가구 1주택 비과세… 바뀐 세법에 주목해야 6. 신흥국 주식과 채권 시장에 부는 훈풍 7. 건물주 첫걸음, ‘상가주택’ 투자의 모든 것 8. 세법상 자산 평가기준과 특수관계자간 거래시 유의사항 9. 금융 시장 분석 및 투자 전략 10. ‘뜨거운 감자’ 상속과 증여의 문제, 쟁족을 아십니까 11. 임대사업자 등록해도 집 한채 더 사면 양도세 중과 폭탄 맞을 수도 12. 신흥국 주 2019.08.08
존슨앤드존슨 서지컬 비젼, '리피뷰 II & 리피플로우' 심포지엄 성료
존슨앤드존슨 서지컬 비젼은 지난 6일 대구에서 국내 안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마이봄샘 기능저하(MGD, meibomian gland dysfunction)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지견을 공유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경북대병원 안과 김홍균 교수가 좌장을 맡아 안과 수술 전 마이봄샘 기능저하의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에 대한 다양한 임상적 경험이 공유됐다. 또한 건성안 눈물막 지질층 두께를 측정하는 의료기기인 리피뷰 II(LIPIVIEW II®)와 마이봄샘 기능저하로 인한 안구건조증 전문 치료 의료기기인 리피플로우(LIPIFLOW®)를 활용한 치료 방법과 사례를 나누는 시간이 마련됐다. 첫 연자로 참석한 미국 듀크대 안과센터 프리야 굽타(Preeya Gupta) 박사는 최상의 안과 수술 결과를 위한 안구표면질환 관리(Managing OSD to Optimize Post-Surgical Outcomes)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미국 백내장 굴절 학회(ASCRS) 2019.08.08
리누스 테라퓨틱스, 美 DEBRA 선정 '21ST ANNUAL BENEFIT' 수상 확정
유양디앤유는 중증 희귀 난치성 질환인 수포성 표피박리증 치료제 신약 'RGN-137'을 개발 중인 리누스 테라퓨틱스가 미국 내 유일한 비영리 단체인 DEBRA(Dystrophic Epidermolysis Bullosa Research Association of America)에서 선정한 '21ST ANNUAL BENEFIT' 수상이 확정됐다고 7일 밝혔다. DEBRA는 미국 내 연구 자금 지원 및 EB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유일한 비영리 단체다. 설립 주목적은 미국에 거주하는 수포성 표피박리증 환자의 치료법 및 치료법을 찾기 위한 연구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리누스 테라퓨틱스가 개발중인 'RGN-137'은 상처치료, 세포보호, 세포 이동촉진 등의 기능으로 수포성 표피박리증 치료에 특화된 신약으로, 현재 임상 3상을 위한 오픈 스터디 (Open Study)를 진행 중이다. 이 오픈 스터디는 임상 설계 등의 검증을 통해 향후 진행할 임상 3상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임 2019.08.07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