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6.22 06:52최종 업데이트 20.06.22 06:53

제보

수도권에 늘어나는 생활치료센터, 부서간 깜깜이 업무·컨트롤타워 없는 문제 개선해야

"대구·경북의 경험...중환자 치료 경험 있는 의료진 턱없이 부족, 지역 간 중환자 치료연계 강화”

이재태 핵의학과 교수. <사진=의학한림원·한국과총·과학기술한림원 온라인 공동포럼 갈무리>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갑자기 생활치료센터를 도입하다 보니 인해 컨트롤타워 등 거버넌스가 미비해 운영 지침이 부재했다. 물자와 장비의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문제도 산재돼 있었다."
 
대구·경북 지역의 경험을 토대로 수도권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하려면 어떤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까. 생활치료센터와 중환자 치료 두 가지 큰 축에서의 개선점이 지적됐다. 
 
급작스런 생활치료센터 도입에 다양한 문제점 드러나…정체성부터 확립해야
 
생활치료센터 도입 초창기를 직접 겪은 경북의대 이재태 핵의학과 교수는 19일 '대구경북에서 코로나19 경험과 이를 바탕으로 한 대응방안' 온라인 공동포럼에서 대구경북지역 코로나19 사태를 경험 삼아 생활치료센터 제도를 새롭게 검토하고 개선하자고 밝혔다. 
 
생활치료센터는 폭발적으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환자들을 원활히 수용하기 위해 3월2일 최초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급작스럽게 센터가 설립되다보니 전반적인 문제점이 많았다. 특히 총책임을 질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부터 센터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가장 심각한 오류로 꼽혔다.
 
이 교수는 "우선 컨트롤타워가 없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였다. 행자부와 복지부 등 정부 당국과 대구시, 의료전문가들이 함께 거버넌스를 이뤘는데 이들을 총괄할 수 있는 대표자가 없다보니 책임소재가 불명확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다행히 센터 내 사망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센터에서 사고가 발생했다면 이를 책임질 사람이 없어 굉장히 큰 사회적 문제가 됐을 것이다"라며 "각 인원간 업무 분장이 불확실하다보니 부서간 깜깜이 업무가 많고 근무자 간 업무 갈등도 있었다"고 전했다.
 
<사진=의학한림원·한국과총·과학기술한림원 온라인 공동포럼 갈무리>  

상황이 이렇다보니 이재태 교수는 초창기 운영지침의 미비나 물자의 효율적 통제가 어려웠던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였다고 평가했다.
 
이 교수는 "운영 지침이 미비하고 부처별로 상이하다 보니 입소자 관리나 센터 내 공간과 자원 관리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자원 낭비적 요소도 많았다"며 "군의관과 공보의 등 의료진의 업무 분담이나 물자와 장비를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향후 마련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그는 생활치료센터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주장도 이제는 통일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순히 환자 수용소로 활용할 것인지, 경증환자를 책임지는 의료기관으로서 역할을 할 것인지 확실히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재태 교수는 "센터가 환자 수용소인지, 의료기관인지 부터가 확정되지 않으니 인원들에 대한 업무분장이 불확실했다"며 "이제는 확실히 의료기관으로서 진료 장비와 약제의 표준화를 이루고 진료지침을 제정하면서 환자정보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개인정보보호법 때문에 공무원들이 환자 정보를 공유해주지 않는 문제 등이 있었다"며 "환자 정보를 종합적으로 콘트롤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 기존 질환 치료제의 처방을 위해 의약분업 일시 예외지정을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중환자 치료 역량 강화해야
 
영남의대 호흡기내과 신경철 교수 <사진=의학한림원·한국과총·과학기술한림원 온라인 공동포럼 갈무리> 

코로나19 중환자 치료를 위한 대응책도 모색됐다. 영남의대 호흡기내과 신경철 교수는 이날 포럼에서 "코로나19는 확산이 빠르고 환자가 중중으로 급격하게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며 "중환자 치료 대응 체계를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신경철 교수는 △중환자치료를 위한 전문 의료진 확보 △충분한 중환자 치료 병상 확보 △지역사회간 중환자 치료연계 개선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했다.
 
신 교수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은 의료인프라가 나쁘지 않은 상황임에도 중환자 치료를 전담할 수 있는 의료인력이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실제로 대구경북지역 중환자의학 전문의는 3명,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6명이었고 특히 중환자 치료 경험이 있는 간호사 수도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사진=의학한림원·한국과총·과학기술한림원 온라인 공동포럼 갈무리>

중환자 병상 수도 국가지정 수준 음압격리 병상이 14개정도로 그나마 기존 입원 중환자 진료를 병행하다 보니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확보의 어려움이 컸다.
 
더욱이 지역사회간 중환자 치료연계를 통한 환자 이송이 원활해야 함에도 상대 지자체의 승인을 기다리다가 이송이 늦어지는 경우도 허다했다.
 
신 교수는 "상대 지자체 승인을 기다리다가 하루에만 3번을 이송 절차만 밟다가 환자 이송이 늦어진 일도 있었다"며 "특정 지역에서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많기 때문에 병상 수 확보와 더불어 환자 치료연계 시스템도 원활히 보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그는 "현장 중환자 진료 여력에 따라 이송 기준이 다를 수 있어 이송에 대한 기준과 이송 대상, 전문 이송팀 등 체계를 적절히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