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12.15 16:36최종 업데이트 20.12.15 16:36

제보

경남제약, 한울티엘과 손잡고 '200조 백신 바이오 운송 시장' 뛰어든다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의약품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

경남제약은 한울티엘과 '백신 바이오 콜드체인 솔루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한울티엘은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 전달하기까지 전 유통과정에서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물류시스템 '백신 바이오 콜드체인 솔루션' 전문 업체로 주사제와 백신, 혈액, 의약품 등을 운송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리포트링커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콜드 체인 시장 규모는 1527억달러(184조340억원)에 달하며 오는 2025년에는 3272억달러(394조3414억원)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의약·바이오·헬스케어 물류시장 규모는 오는 2025년까지 전 세계 물동량의 약 3.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의약품 콜드 체인 시장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의약품 콜드체인 시장은 아직 글로벌 수준에 현저히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 지난 9월 독감 백신의 상온 노출 사고를 계기로 콜드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동시에 엄격한 온도관리가 수반돼야 한다는 지침에도 불구, 이에 대한 인식이 낮아 국내에서는 여전히 스티로폼과 종이 박스로 나르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최근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승인 소식이 이어지면서 콜드체인 운송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 의약품 관리는 겨울철에 특히 중요한만큼 한울티엘은 글로벌 기준의 콜드체인 패키지를 만들었다.

2~8도 정온상태를 비롯해 영하 –20도부터 초저온인 –70도에서도 120시간 이상 전원공급 없이 콜드체인 운송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특허 기술과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제약·바이오 업계의 러브콜이 지금까지도 쇄도하고 있다.

이번 MOU 체결로 경남제약은 자사가 개발·취급하는 제품의 정해진 온도와 물동량, 운송 정보 등을 한울티엘에 제공하며 한울티엘은 제공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정온 보관과 패키징, 벨리데이션, 운송에 대한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안할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콜드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경남제약이 본격적으로 백신 바이오 콜드체인 운송사업에 진출해 소비자들이 안전하게 의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동시에 미래 성장 가능성 및 잠재력이 큰 핵심 분야인 만큼,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민지 기자 (mjse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