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5.19 12:40

韓 경제성장률 2%대로…'S 공포' 현실화



글로벌 인플레이션발(發) 실물경기 둔화 우려 속에 한국 경제성장률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데 이어 정부와 한국은행도 성장률을 2%대로 하향하며 ‘저성장, 고물가’를 공식화할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공급망 불안과 원자잿값 급등, 미국의 긴축, 중국 경제 봉쇄에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 파고까지 덮치며 우리 경제에 ‘S(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공포’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한은, 성장률 2%대로 낮출 듯1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오는 26일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지난 2월24일 수정경제전망 발표에선 지난해 11월과 동일하게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을 3.0%로 유지했지만 이번에는 2% 중후반 대로 낮출 가능성이 크다. 앞서 한은은 우크라이나 사태와 오미크론 확산이 성장 하방 요인이라고 보면서도 방역조치 완화에 따른 소비 회복과 새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계획 등을 이유로 ‘최소 3% 성장’은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원자재 수급불안이 더욱 심해졌고, 중국의 고강도 코로나19 봉쇄 정책과 미국의 물가 쇼크 등 예상치 못한 악재까지 겹친 만큼 한은 내부에서도 경제성장률 하향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커지는 분위기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 등 2월과는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에 한은도 한국개발연구원(KDI) 수준(2.8%)으로 성장률을 낮출 것"이라며 "코로나19 회복에 따른 소비 증가가 성장률 플러스 요인이 될 수도 있으나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더 크게 작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다음달 초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경제성장률 및 물가전망치를 수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정부는 올해 성장률을 3.1%로 예상했는데, 이번엔 2% 중후반으로 하향이 불가피하다.


우크라이나 전쟁·中 봉쇄 장기화 우려이미 국내외 기관들은 일찌감치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하향하고 있다. 전날 KDI는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제시해 지난해 11월 전망치(3.0%)보다 0.2%포인트 낮췄다. 단 앞서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하향한 국제통화기금(IMF, 3.0%→2.5%), 한국경제연구원(2.9%→2.5%) 등 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KDI의 성장률 전망치가 다른 국내외 기관들보다 높은 것은 추경 효과에 있다. KDI는 59조4000억원 규모의 추경이 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산했는데, 추경 효과를 제외하면 성장률은 2.4%에 그친다. 원자잿값 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미국 등 주요국의 금리인상,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둔화 가능성을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2%에 이를 것으로 봤다.
KDI는 2%대 후반 성장률을 제시해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지만 대내외 여건은 녹록지 않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 경제 봉쇄가 장기화되면 수입 물가 상승은 물론 글로벌 교역 위축으로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KDI 역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며 내년 성장률이 2.3%까지 하락할 것으로 봤다. 이에 더해 ‘고물가→임금 상승→물가 추가 상승’이라는 악순환에 빠질 경우 실질 구매력 감소로 민간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양준모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결국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유가 급등 장기화 여부에 따라 성장률이 결정될 것"이라며 "올해 성장률은 2%대 중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