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새 정부가 재건축 규제완화 정책을 시행할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 직접적 영향을 받을 노후단지 주민들이 사업 속도를 내기 위해 정부에 갖가지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 일부에선 실력행사 움직임도 보인다. 특히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주민 요구를 외면하기 어려울 것이란 상황 인식도 작용하고 있다.
광명 하안동 일대 주공아파트 단지별 재건축추진준비위원회(재준위)는 지난 26일 박승원 광명시장과 간담회를 갖고 재건축 기간 단축을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이곳은 전체 2만 4000여 가구로 ‘미니 신도시급’ 규모다. ‘정밀안전진단 비용 지원 시기 단축’ 및 ‘1기 신도시 특별법에 준하는 용적률 500%로 상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재준위 측은 "재건축 규제 완화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공약으로 제시된 만큼, 사업 활성화를 위해 광명시의 실질적 정책 지원을 요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준위는 지난 21일 국민의힘 김기남 광명시장 예비후보와도 간담회를 진행한 바 있다.
대표적 1기 신도시 지역인 분당에선 ‘시민 결의대회’도 열렸다. 분당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로 구성된 ‘분당 재건축연합회’는 지난 26일 결의대회를 열고 노후 아파트 단지들의 정비예정구역 지정을 반영한 도시정비계획 조기 수립 등을 촉구했다. 연합회 측은 성남시의 ‘2033 도시정비기본계획’에 분당 지역이 재정비 예정구역으로 지정돼 있지 않아 재건축이 불가능하다며 기본계획 변경을 서둘러야 한다고 요구했다. 분당 지역 재건축 추진 움직임은 지난해 10월 서현동 시범단지 내 한양·우성·삼성한신·현대 아파트 등 4개 단지가 재건축 추진 준비위원회를 공동 결성하면서 시작됐다. 현재는 30여개 단지가 합류한 상황이다.
일산에서도 통합 재건축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백송마을 6·7·8·9단지(총 2139가구)에서 통합 재건축을 논의하기 위한 소유주 모임이 만들어졌다. 이들 4개 단지는 모두 1994년 입주해 준공 29년차를 맞았다. 마두동의 백마1·2단지와 강촌1·2단지(총 2906가구) 주민들 사이에서도 통합 재건축을 검토해보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윤 당선인의 공약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재건축 활성화를 요구하는 노후 아파트 주민들의 요구가 더욱 거세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