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3.28 06:00

서울시, 모아타운 자치구 첫 공모에 30곳 신청…4월 최종 선정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노후 저층주거지의 주거환경을 정비모델 사업인 모아타운 첫 공모에 총 30곳이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는 4월 중으로 25개소 내외 모아타운 대상지를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8일 모아타운 자치구 공모 접수를 24일에 마감한 결과 서울 14개 자치구에서 총 30곳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모아타운은 블록단위 ‘모아주택’의 개념을 확장시켜 10만㎡ 이내 지역을 한 그룹으로 묶어 노후 주택 정비와 지역 내 필요한 공영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지역단위 정비방식으로 소규모주택정비법 상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시는 이번 자치구 공모에 앞서 모아타운 대상지 12개소를 선정한 바 있으며, 이 중 9개소는 현재 관리계획 수립 추진 중이며 나머지는 관리계획 수립 용역 착수를 앞두고 있다.
시는 4월 중으로 자치구에서 제출한 신청서를 바탕으로 대상지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소관부서 사전적정성 검토를 진행한다. 이후 평가점수 70점 이상인 공모신청지에 대해 도시계획·건축·교통 등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한 선정위원회를 열어 25개소 내외 모아타운 대상지를 최종 선정한다.
대상지 정량적 평가는 주차난 등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사업실행이 가능한 지역에 중점을 두고 ▲ 모아주택 집단 추진 여부(20점) ▲ 모아타운 대상지 취지 부합 여부(60점) ▲ 노후도 등 사업의 시급성(20점) 등을 평가한다. 여기에 지역주민 참여 의사 여부(최대 10점)로 구성해 합산 70점 이상으로 최종 평가 대상으로 선별한다.
도시재생지역 등은 균형발전본부에서 사업대상지별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모아타운 대상지 적정 여부를 검토한다. 아울러 선정위원회는 재생 관련 전문가를 추가·구성해 최종 모아타운 대상지를 선정한다.
시는 대상지로 선정되는 지역에 대한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비용을 5월 중으로 자치구에 배정해 계획수립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지원 할 예정이다.
이진형 서울시 주택공급기획관은 "현재 추진 중인 모아타운 대상지 12개소의 원활한 사업 추진과 함께 이번 자치구 공모 접수로 올해 모아타운 지정 목표인 20개소 지정이 가능하도록 행정적·재정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양질의 모아주택 공급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