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차기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서울 용산 국방부청사 인근 주민들뿐 아니라 대통령 관저로 활용될 한남동 지역 거주자들도 이 사안이 집값이나 주거환경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크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관저로 활용하기로 한 시설인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매봉산을 등지고 있다. 길 건너편엔 나인원한남아파트, 산 넘어엔 한남더힐아파트, 유엔빌리지 등이 있다. 주변에 국회의장·대법원장 공관과 외국 대사관 등이 밀집해 있는 ‘한남동 공관촌’이라 불리는 지역이다. 육군참모총장 공관에서 700m 쯤 떨어진 한 빌라 단지를 22일 오후 찾았다. 현지에서 만난 주민들은 인근에 대통령 관저가 생긴다는 소식을 잘 안다면서도 "뜻밖의 일이긴 하지만 별로 개의치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통령 관저가 들어서면 각종 규제나 제한 사항들이 생기겠지만 지역에 재개발 이슈 등이 없어서 집값에 별 영향을 안 줄 것이란 생각들이다.
일대 공인중개사사무소(공인) 관계자들도 "‘대부분 주민들이 감수할 만한 일이라는 반응을 보인다"고 전했다. A공인중개사는 "뉴스를 듣고 매물을 회수하는 경우도 간혹 있긴 한데, 관저 때문이라기보단 새 정부가 발표할 세제 완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 종합부동산세·재산세 통합 추진,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세율 적용 한시적 배제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는데, 그 기대감에 매물을 회수했다는 것이다.

대통령 관저가 어떤 식으로든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기대감도 없지는 않다. B공인 관계자는 "서울 중앙임에도 용산 개발은 낙후돼 있었다"며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이 무산됐는데 이번에는 개발되지 않을까 기대해본다"고 했다. 이 역시 관저가 위치한 지역 이슈라기보다는 집무실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용산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풀이된다.
다만 대통령이 관저에서 집무실로 출퇴근하며 주변 교통이 혼잡해질 걱정은 꽤 나왔다. C공인 대표는 "이미 한남동 고가도로가 출퇴근길이면 교통체증이 심한데 더 복잡해질 것이 분명하니 걱정이 된다"고 했다.
한남동 관저 예정지 주변 민심이 다소 차분한 것에 비해, 집무실이 위치할 삼각지역 주변, 한강로동 일대에선 여전히 혼란스런 분위기가 감지된다. 재개발 계획이 있는 이 일대는 "추가 규제가 없다"는 윤 당선인의 말에도 불안감이 완전히 해소되진 않은 듯 보였다. 한강로동 D공인 관계자는 "눈 가리고 아웅 격이라고 생각한다"며 "일단 집무실이 들어서고 나면 어떤 규제가 하나둘 생길지 모르는 일 아니냐"고 했다. 또 "집무실 이전 이야기를 거론하며 계약을 포기한 매수자가 2명 있었다"는 소식도 전했다. 수익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매수를 포기하는 경우였다고 한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