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대통령 집무실이 들어설 서울시 용산에서 집주인들이 내놨던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 집무실 이전이 부동산 시세 측면에서 호재냐 악재냐 의견이 분분하지만, 일단 시장에선 ‘상승 요인’으로 보는 시각이 더 강하다는 신호다.
22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 집계에 따르면, 이날 기준 용산구의 아파트 매물은 882건이다. 대선 다음날인 10일 921건과 비교하면 4.3%(39건) 감소했다. 감소폭이 같은 기간 서울 25개 자치구 중 1위다. 매물이 줄어든 만큼 용산구 내 아파트 거래량도 크게 축소됐다. 이달 1일부터 22일까지 신고된 매매건수가 5건에 불과하다. 이는 25개 자치구 중 18위다.
용산구 한남동 A공인중개사사무소 대표는 "집무실 이전을 호재로 받아들이고 용산이 정치 1번지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매물이 10개 있다면 이 중 4개는 거둬들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집무실 이전에 따른 또다른 호재로는 용산공원 개발이 꼽힌다. 용산공원 개발은 지난 10여년간 제자리걸음을 반복해왔고 현 정부 들어 해당 부지에 임대 아파트를 짓자는 안까지 나왔었다. 하지만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용산 시대’ 개막으로 공원 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본적으로 주요 관공서가 이전해오는 것은 지역 호재"라며 "용산기지 부지에 임대아파트 10만호를 짓는다는 계획안이 없어지고 용산공원 조성이 빨라진다는 것도 큰 호재"라고 진단했다.

다만 추가 규제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윤 당선인이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청와대가 이전하더라도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고 강조했지만 국방부 초인접 지역은 대통령 경호 등을 이유로 규제가 추가될 가능성은 여전하다.
삼각지역 인근 B공인 대표는 "문서화된 것도 아니고 일단 들어오고 나중에 규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아직은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위기가 퍼져있다"고 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