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확정되면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지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방부 청사가 위치한 용산구는 개발이 어려워져 악재라는 의견이 나오는 반면, 용산구와 인접한 마포·동작·반포 등은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이 마련된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서 인수위 출범 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했다. 당초 새 집무실 후보지로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외교부 청사 등이 함께 거론됐지만 이 날 발표를 통해 국방부 청사로 확정한 것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으로 인한 고도제한 및 개발제한 등에 대해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용산구 문배동 A공인중개사사무소(공인) 대표는 “용산구의 경우 ‘35층 층고 규제’ 폐지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상황”이라며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할 경우 고층 건물은 물론이고 일대 재개발조차 가로막힐 가능성이 높아져 일대 부동산 시장이 주춤할 수밖에 없다”라고 전했다. 송승현 도시와 경제 대표는 “삼각지 일대에는 향후 개발을 노리는 노후주택이 많이 몰려있는데 규제를 받게 되면 개발사업이 정체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교통난 심화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해당 일대는 기존에도 교통이 혼잡해 주민들의 불편이 큰 상황”이라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 외에도 용산정비창·캠프킴 부지에 대규모 주택공급이 예정돼 있다보니 교통혼잡은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달리 용산구 인근에 위치한 마포·동작구 등 일대에서는 낙관적인 전망이 나온다. 마포구 공덕동 B공인 관계자는 “이곳은 고도·개발제한 등의 규제와는 거리가 멀어 용산구로 향했던 수요들이 향후 몰려들 가능성이 높다”라며 “실제로 최근 며칠 동안 대통령 집무실 이전 관련해 매수문의가 몰려드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송승현 대표는 “청와대에 상주하는 인력들이 여의도나 동작·서초구 등 인근의 고가주택을 찾게 될 가능성이 높아 인접지역 부동산 시장에는 호재라고 볼 수 있다”라며 “서초동 법원에 근무하는 고소득계층 수요가 반포나 방배동 등으로 흘러들어가 집값 상승을 이끈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