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3.18 11:18

[르포] 용산은 집값 떨어질까 노심초사…청와대 인근 상승기대 매물잠김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집주인들이 많이 불안해하죠. 어제 오늘 카톡, 전화 할 것 없이 ‘집값 떨어지는 거냐, 팔아야 되는거냐’ 문의가 빗발치고 있어요."(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A공인중개사사무소(공인) 대표)"매수문의 한 통도 없는데 매도인들은 벌써 안 판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최근에 매물 사겠다는 사람이 있었는데 집주인이 값을 올려버려서 거래가 불발됐어요"(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 B공인 관계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를 대통령 집무실 이전 후보지로 고민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청사 앞 서울 용산구 한강로동 일대와 청와대와 인접한 종로구 청운효자동(서촌)·삼청동 일대가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쪽은 집값 하락을, 다른 한 쪽은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눈치다.
17일 오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앞 일대 공인 관계자들은 집주인들이 집무실 이전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A공인 대표는 "매물이 아예 없었는데, 발표 이후에만 두 건이 나왔다"며 "심지어 시세보다 낮게 설정한 편"이라고 답했다.
특히 국방부 인근 용산구 한강로1가 158번지 일대는 한강로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재개발 후 지상 38층~지하 5층, 총 5개동의 아파트 497가구와 오피스텔 388가구가 들어설 계획이었던 터라 걱정이 더 큰 것으로 보였다. 대통령 경호를 위한 고도제한 등의 규제로 주변 일대 용적률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C공인 관계자는 "용적률에 제한이 걸리면 그만큼 수익성이 줄어들 수밖에 없어 인근 조합원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다. A공인 대표 역시 "윤 당선인이 부동산 민심으로 뽑힌 만큼 재개발에 속도가 붙을 줄 알았는데 오히려 집주인의 고민만 늘게 됐다"고 지적했다.



반면 청와대 일대 공인들은 국방부 앞 상황과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이곳에서는 집무실 이전을 통한 규제 완화로 집값 상승을 기대하는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는 모습까지 나타나고 있다. 인근 공인 관계자 D씨는 "이전부터 나와있던 매물을 원하는 매수인이 나타나 계약이 진행되고 있었는데 발표 이후 집주인이 갑자기 가격을 올려 거래가 불발됐다"면서 "단순히 올린 게 아니라 거래 자체를 안하겠다는 의미"라고 귀띔했다. 또 그는 "매도 고민을 하던 집주인들도 결국 안 팔겠다고 밝히며 매도 의사를 거둬들이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두 지역 주민들의 반응도 상반됐다. 용산 국방부 인근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집회·시위가 많아질 것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머리가 아프다"며 이전 반대 의사를 밝혔다. 반면 삼청동 주민은 "청와대가 개방되면 이곳 상권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시위로 인한 교통체증, 헬기 소음 등이 불편했는데 많이 좋아질 것 같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집무실 이전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삼청동에서 만난 김 모씨(23·여)는 "소통이 목적이라고 하지만 굳이 막대한 세금을 들여 집무실을 이동하는 의미가 뚜렷하지 않다"고 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