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대선 이후 재건축 활성화 기대감은 현장에서도 감지된다. 재건축을 추진하다 중단된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9단지 주민 A씨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공약대로만 된다면 재건축 기대감을 가질 수 있겠다"고 말했다. 이 지역 공인중개사 사무실 대표 B씨는 "집을 팔까 말까 고민하다 (대선 결과를 보고) 매물을 거둔 실거주자도 있다"고 전했다. 역시 사업 중단 상태인 강동구 명일동 고덕주공9단지 공인 관계자들도 "대선 후 재건축 관련 매수 문의가 들어오는 편"이라고 했다.
이들 지역 주민들이 기대감을 갖게 된 건 윤 당선인이 내건 ‘30년 이상 된 아파트 정밀안전진단 면제’ 공약 때문이다. 두 단지 모두 2차 정밀안전진단에서 재건축 사업 진행이 막혔다. 신시가지9단지(1987년 준공)와 고덕주공9단지(1985년 준공)는 윤 당선인의 공약이 실현된다면 안전진단 면제 조건을 충족한다.
재건축 기대감에 호가가 올라간 사례도 포착된다. 지난달 19억8000만원에 거래된 목동 신시가지9단지(전용면적 128㎡) 매물의 호가는 22억선에 머물러 있다. 고덕주공9단지(103㎡) 역시 지난 1월 13억5000만원에 거래됐던 매물의 호가는 적게는 13억7000만원에서 15억5000까지 형성돼있다.
대선 후 국민의힘 1호 법안으로 ‘안전진단 평가 항목 조정’ 내용의 법안이 발의되면서 기대감은 더 커지고 있다. 이 법안은 주차공간, 일조환경, 실내 환경 적정성 등 주거품질 항목의 평가 비중을 크게 늘린 것으로, 노후 아파트들의 안전진단 통과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재건축 규제 완화로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지만 시장 상황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매도자 중심으로 재건축 단지의 호가는 오를 것"이라면서도 "수요자들의 가격 고점 인식과 거시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