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원자재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중국의 생산자물가 오름세가 3개월 연속 둔화됐다. 미국에 이은 중국발 인플레이션 쇼크 우려는 다소 잦아들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대비 9.1% 오르며 3개월 연속 상승세가 둔화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9.5%) 역시 밑도는 수치일 뿐 아니라 5개월만에 한 자릿수를 기록한 것이다.
중국의 월간 PPI 상승률은 세계 원자재 가격 급등 영향으로 지난해 10월 13.5%까지 치솟으며 1996년 이후 25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11월 12.9%, 12월 10.3%를 기록하며 오름폭을 좁혀왔다. 이는 물가 상승 요인이던 세계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안심하기는 이른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개 양상에 따라 국제유가 치솟으며 중국발 인플레이션에 다시 불을 지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사태의 긴장감이 고조되자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는 지난 14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장 중 한 때 배럴당 95.82달러까지 거래되며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의 생산자물가가 가파르게 오르면 중국산 제품이나 노동력을 이용해 생산하는 완제품 가격도 덩달아 상승할 수밖에 없다.
같은날 발표된 중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9% 상승했다. 블룸버그 전망치(1.0%)를 밑돌며 2개월 연속 둔화되는 흐름이다.
생산자 물가와 소비자 물가의 상승세 둔화는 중국내 경기둔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세계경제전망 발표를 통해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을 기존 5.6%에서 4.8%로 0.8%포인트 하향조정한 바 있다. 이는 세계 평균 조정폭(-0.5%)을 웃도는 것이다. 아울러 IMF는 2023년 중국의 성장률 역시 기존 5.3%에서 5.2%로 낮춰 잡았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관련뉴스해당 언론사에서 선정하며 언론사 페이지(아웃링크)로 이동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