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세종), 강나훔 기자] 카카오가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2만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중 1만명을 직접 채용한다. 현재 카카오 계열사를 포함한 ‘카카오 공동체’의 임직원 수는 약 1만명으로, 2배 이상을 늘리며 양질의 일자리 만들기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카카오가 정부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2만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 중 1만명을 직접 채용한다. 현재 카카오 계열사를 포함한 ‘카카오 공동체’의 임직원 수는 약 1만명으로, 2배 이상을 늘리며 양질의 일자리 만들기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
9일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정부와 카카오는 이날 오전 경기 성남시 카카오 판교오피스에서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의 ‘청년희망 온(ON)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카카오는 신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향후 5년간 5000억원을 투입한다.
카카오의 1차 계열사를 포함한 ‘카카오 공동체’는 향후 5년간 연평균 2000명을 직접 채용한다. 사원교육 목적으로 조성 중인 ‘인공지능(AI) 캠퍼스’를 일반 청년에게 개방해 2024년부터 3년간 총 6000명의 디지털 청년인재도 양성한다. 이와 함께 향후 5년간 3000억원을 투자해 ‘100개 스타트업’ 창업지원에 나선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 총리를 비롯한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 등 정부 측 인사와 김 의장, 김성수·홍은택 부회장, 남궁훈 대표이사(내정) 등 카카오 측 경영진이 참석했다.
김 총리는 "카카오의 청년희망ON 참여로 디지털 산업 분야에서만 2만명 이상의 좋은 일자리 창출과 인재육성은 물론 ‘제2, 제3의 카카오’가 나올 것이란 기대를 갖게 됐다"며 "카카오가 앞으로 플랫폼 기업 중에서 상생경영의 모범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많은 청년들이 창업을 꿈꾸고 이를 실현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며 "우리 청년들이 진로를 선택할 때 창업도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IT인재들의 창업지원, 혁신가 양성에 개인적으로도 힘을 보탤 것"이라고 화답했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