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세종=손선희 기자] 정부가 사적모임 인원을 최대 6명으로 제한하고,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을 밤 9까지만 허용하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2주 더 연장하기로 했다. 오는 7일부터 20일까지 적용된다. 다만, 방역상황 추이를 살펴 충분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판단이 들 경우 2주 내에라도 추가 조정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7주 간 이어진 방역강화 조치로 인해 생업에 큰 고통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어려움과, 국민의 피로감을 고려하면 쉽게 결론짓기 어려웠다"면서도 "그러나 지금은 '안전 운전'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설 연휴의 여파를 정확하게 추산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하루하루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오미크론의 속도를 늦추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며 "그래야만 유행의 파고를 최대한 낮춰 피해를 줄이겠다는 우리의 정책목표도 실현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결정에 대해 답답한 마음이 들 수 있겠지만, 소상공인·자영업자 그리고 국민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호소했다.
이날 거리두기 연장안 발표를 앞두고 정부 내부에서는 막판까지 일부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신규 일일 확진자 수가 연일 2만명대를 기록하고 있긴 하지만, 위중증·치명률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수준이다. 기 확보된 중환자 병상 여력도 충분한 상황이고, 먹는 치료제 보급도 시작되는 등 전파력에 비해 중증화율이 낮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특성을 고려해 거리두기를 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정부는 설 연휴 확진세가 어느정도까지 퍼질 지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방역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무게를 두고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해 김 총리는 "앞으로 2주 간 오미크론 대응 전략을 빈틈없이 속도감 있게 실행하는데 주력하겠다"면서 "다만 방역상황을 어느 정도 관리 가능하다는 판단이 들면 그 사이에라도 다시 한 번 더 조정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아울러 "다음 주부터 정부는 50대 이상까지 먹는 치료제 처방을 확대한다"며 "오미크론의 기동성에 맞서 재택치료 체계도 더 빠르고, 더 촘촘하게 보완하는 방안도 다양하게 검토해서 다음 주 초에 발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