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핀테크 플랫폼의 금융 상품 판매에 제동이 걸린 가운데 금융당국과 카카오페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중단 위기에 몰린 펀드 등 투자상품과 보험상품 판매를 지속하겠다는 반응에 금융당국은 자체적으로 라이선스를 받아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생존이 달린 카카오페이로서는 별다른 선택지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최종 결론에 따라 핀테크와 전통 금융사 간의 경쟁 구도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제도적 요건을 준수하며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며, 금융위의 발표에 맞춰 소비자보호 관점에서 추가로 보완 부분을 적극 검토해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의 입장에 대해 사실상 현재 서비스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최근 금소법에 기초해 플랫폼 기업이 펀드, 연금보험, 저축보험 등 투자상품과 보험상품을 중개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판단했다. 이를 위반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이 가능하다. 계도기간은 오는 24일 종료된다.
금융당국의 중단 명령에도 카카오페이가 금융 서비스를 지속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 부분의 회사의 핵심 사업이어서다. 또한 기업상장(IPO)를 목전에 둔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금융 서비스 부분은 카카오페이 이익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금융 서비스를 중단할 경우 다음달 IPO에서 악영향은 불 보듯 뻔하다. 실제 금융당국의 규제 방침이 나오자 카카오페이의 모회사인 카카오의 주가는 10.06%가 하락했다. 시가총액은 하루만에 6조8930억원이 증발했다.
금융당국은 강경 기조를 굽히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회사를 통해 필요한 라이선스를 획득한 것으로 정당화할 수 없다"며 "카카오페이가 자체적으로 라이선스를 획득해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카카오페이의 IPO 일정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금융감독원은 오는 27일까지 카카오페이에 대한 증권신고서 심사를 진행 중에 있다. 만약 금감원이 최근 금융위가 발표한 금융위의 규제 방침을 반영한 수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할 경우 카카오페이가 계획한 다음달 상장은 불가능해진다.
논란이 거세지면서 금융당국은 이날 오후 핀테크 업계를 불러 의견을 청취하기로 했다. 이날 개최되는 긴급간담회에는 금융위와 금감원 관계자를 비롯, 핀테크산업협회와 20여개사 핀테크 관계자가 참석한다. 이자리에서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사들은 업계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금융플랫폼에 대한 기존 입장을 밀어붙힐 예정이어서 의견 대립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