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집 걱정을 덜어주겠다는 약속을 매듭짓지 못하고 떠나 마음이 무겁고 송구하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3년 6개월여만에 퇴임했다.
김 장관은 취임한지 1285일째되는 28일 오후 이임사를 통해 "미완의 과제를 남기고 떠난다"며 이같이 전했다. 하지만 "수도권 127만호 공급 기반을 확충하고 31년 만에 임차인의 거주권을 2년에서 4년으로 보장하는 임대차 3법이 통과된 만큼, 머지 않아 우리 국민들의 주거안정은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선진국 수준의 장기공공임대주택 재고율 8%를 달성한 의미 있는 해"라며 "2022년에는 200만호, 2025년에는 240만호로, 무주택 800만 가구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제는 임대주택의 질적 수준도 중요하다"면서 "재정당국과 잘 협력해서 충분한 면적과 품격을 갖춘 누구나 살고 싶은 평생주택을 만들어 주길 바란다"고 부탁했다.
김 장관은 노동자의 생활과 안전 보장에 대해 거듭 당부했다. 그는 "건설노동자 임금직불제와 기능인 등급제, 버스 준공영제, 택시 완전월급제가 제대로 안착할 수 있도록 살펴봐달라"면서 "이제 막 상임위 문턱을 넘은 생활물류법이 택배 종사자의 실질적인 처우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성심을 다 해주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어 "힘든 환경에서 일하는 도로 보수원, 공항 지상조업 근로자에게도 관심을 기울려 달라"고도 했다.
국토부 최장수 장관 타이틀을 단 그는 공직 생활을 돌아본 소회도 밝혔다. 그는 "우리는 장관과 간부, 직원의 관계라기보다 무수한 전투를 함께 치러낸 전우였다"면서 "더 없이 길고 촘촘했던 시간, 덕분에 버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