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디바이오센서 "수출 90% 비중인데, 국가별 등록 더욱 어려워져…식약처 규제 국제조화 필요"
"FDA 등 일부 규제기관 승인만 인정하거나 내수 허가절차 따로 받아야 하는 국가 증가 추세"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최근 의약품, 의료기기 등을 수출시 해당 국가의 별도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기업의 수출 활성화 측면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규제과학 수준을 높이고 글로벌 표준에 맞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SD바이오센서(에스디바이오센서) 원유덕 부사장·글로벌 생산 총괄은 최근 식약처가 개최한 제5회 규제과학 혁신포럼에서 이 같이 밝히면서 국제 규제조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원 부사장은 "현재 생산 공장은 한국 3곳을 비롯해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에 있으며, 미국은 법인을 중심으로 공장 마련을 계획 중인 단계라며 "수출이 매출의 90%인 회사다보니 많은 국가들에 공장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원 부사장은 "해당 국가에서 생산하고 바로 공급하게 되면 허가 등록이 빠르고, 선적 비용의 감소로 원가 절감과 경쟁력 강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 진단키트를 아프리카로 수출하는 경우 테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