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의원 "생존사슬 고리 효과적 연결 중요...지방 중심으로 심폐소생술 교육과 홍보 강화해야"
자료=박희승 의원실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생존율이 낮고 생존 시에도 뇌기능 회복률이 한 자리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의 경우 더 생존율이 낮아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해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급성심장정지 환자수는 지난 2015년 3만771건에서 2023년 3만3586 건으로 9.1% 증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2015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최근 10년간 총 30만1459건이 발생했으며, 이 중 남성이 19만3437건(64.2%) 으로 여성 10만7946 건 (35.8%)에 비해 1.8 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20만8716건으로, 전체의 69.2%를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15 년 6.3%에서 2024년 상반기 기준 9.2%로 다소 높아졌으나, 여전히 10건 중 9건은 사망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다. 지난해 80세 이상의 생존율은 3.5%에 불과했다.
특히 급성심장정지는 각 지역별 생존율 격차가 컸으며, 주로 지방의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이 5.4%로 가장 생존율이 낮았고 이어 경북 (5.9%), 충남(6.3%), 강원(7.2%), 경남(7.6%) 순이었다. 생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 (12.4%)이었다.
이같은 환자 생존율의 지역 간 격차는 비수도권이 수도권에 비해 고령인구 비율이 높고,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정됐다. 급성심장정지의 경우 골든타임이 중요하지만 특별시와 구의 경우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48.2% 에 달하는 반면 광역시 및 도, 군은 19.9% 에 불과했다. 실제 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율은 14.3%로 미시행시 6.4% 보다 2.2 배 높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뇌기능 회복률도 매우 낮아 6.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환자의 뇌 손상을 막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저체온치료 (TTM) 급여화를 시행했지만, 인식 부족 등으로 시행률은 3.9%에 불과했다.
박희승 의원은 “급성심정정지 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해선 생존사슬의 각 고리가 효과적으로 연결돼야 한다. 고령층이 많고 병원 접근성이 낮은 지방을 중심으로 교육과 홍보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심폐소생술 시행률을 높이고, 저체온 치료 등에 대한 연구도 보다 적극적으로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