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7.11.01 02:15최종 업데이트 17.11.01 02:15

제보

간호인력 취업 지원해도 역시 서울행

유휴간호사 참여율도 낮아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정부가 유휴간호사 등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취업연계를 지원하는 '간호인력 취업지원 사업'.
 
유휴간호사의 참여율을 높이고, 지방·중소병원의 간호인력 부족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하는 해당 사업도 결국에는 수도권으로 취업이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함께 유휴간호사를 중심으로 취업지원을 하는 해당 사업에 유휴간호사 참여율은 11.7%에 불과해 문제가 있다는 설명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인숙 의원(바른정당)은 31일 국정감사에서 간호인력 취업지원 사업은 지방·중소병원을 중심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인숙 의원은 "복지부는 대한간호협회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를 통해 유휴간호사 등 간호 인력을 교육·훈련하는 '간호인력 취업지원 사업'을 위탁하고 있는데, 해당 사업은 유휴간호사를 중심으로 재취업을 지원하고,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그러나 결과적으로 해당 교육 후 간호사들의 취업 현황을 보면, 여전히 서울지역에 집중되거나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 몰리고 있다"면서 "사업의 취지와는 다르게 가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병원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경우, 교육인원 중 144명 중 132명(91.7%)이 상급·종합병원에 취업했다.
 
따라서 병원급이나 지방병원에서는 인력난으로 인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실시조차 할 수 없는 상황.
 
출처: 보건복지부 제출자료 박인숙 의원실 재구성

더불어 박인숙 의원은 "교육에 참여한 인원을 보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 인력이 절반가량(48.4%)이고, 간호대학 졸업예정자가 40%인 반면 유휴간호사는 11.7%에 불과하다"면서 "간호사면허 절반이 유휴인 상황에서 교육 대상에 있어 유휴간호사 비중이 낮은 것은 문제"라고 언급했다.
 
또한 박인숙 의원은 "복지부는 지난 2015년 9월부터 시작한 해당 사업의 목표가 당초 목표로 했던 인원보다 교육인원을 초과해 달성했지만, 실제로 취업과 연계된 간호사는 교육인원 대비 40%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미흡한 성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박인숙 의원은 간호인력 취업지원 사업 취지에 따라 유휴간호사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방·중소병원을 중심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간호사 # 유휴간호사 # 복지부 # 간호인력 # 취업지원 # 박인숙 # 중소병원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 교육 #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jhhwang@medigatenews.com)필요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