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1.18 16:54최종 업데이트 25.11.18 16:54

제보

딜라이트룸, 숨소리 분석 통한 '수면 무호흡증' 정밀 탐지 기술 개발

국제 학술지에 발표…수면 중 호흡 중단∙코골이∙가쁜 숨소리 등 80% 이상 정확도로 포착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글로벌 수면-기상 솔루션 '알라미' 운영사 딜라이트룸이 호흡 소리 분석 기반 수면 무호흡증 정밀 탐지 기술에 대한 연구 논문을 수면 관련 국제 학술지 ‘네이처 앤 사이언스 오브 슬립’에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딜라이트룸 연구진은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모델을 활용해 마이크 센서 만으로 수면 무호흡증을 높은 확률로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
 
‘애프니어위스퍼’로 명명한 해당 기술은 수면 중 호흡 중단, 코골이, 가쁜 숨소리 등 미세한 증상을 80% 이상 정확도로 포착한다. 기존 탐지 모델(MFCC, VGGish) 보다 최대 23% 높은 수치다. 특히 수면 중 호흡 장애를 구성하는 4개 요인(폐쇄성, 중추성, 복합성, 저호흡)에 대한 인식이 가능해, 질환 유형까지 분석할 수 있다.
 
딜라이트룸은 올해 호흡 소리 분석 기술에 개발 역량을 집중 투입했다. 외부 소음, 뒤척이는 소리 등 잡음 환경에도 안정적으로 기능하는 ‘레스파이어세그넷’을 1월 발표했으며, 10월에는 이를 기반으로 깊은 수면, 얕은 수면, 렘수면 등 실험자의 수면 단계까지 90% 수준 정확도(오차 범위 10% 이내)로 분석해냈다. 또한 이번 논문 결과로 딜라이트룸은 수면질 측정뿐 아니라, 숙면을 방해하는 병리적 증상에 대해서도 높은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증명했다.
 
딜라이트룸 신재명 대표는 “이번에 개발한 수면 무호흡증 탐지 기술은 무호흡 횟수뿐 아니라, 증상 발현의 지속 시간과 유형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예후 전망이나 위험군 분류 등 의료적 분석이나 연구에 참고할 수 있다”며 “고가 장비가 필요한 기존 수면 검사 방법론을 벗어나, 일반 가정에서도 스마트폰이나 마이크 만으로 수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실험”이라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