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대한한의사협회가 최근 한의사들의 의과 영역 침범에 비판을 제기하며 대국민 공개토론회를 제안한 대한의사협회를 향해 여야 대통령 후보와 함께하는 끝장토론을 공식 제안했다.
12일 한의협은 의협이 지난 8일 개최한 기자회견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
한의협은 "의료계에 대한 대국민 신뢰와 이미지가 실추되고 있음에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부 비난을 한의사를 적으로 돌려 잠재우려는 속보이는 꼼수에 헛웃음만 나올 뿐"이라고 지적했다.
의협은 8일 ▲한의사의 엑스레이,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 ▲리도카인, 스테로이드 등 의약품 사용 ▲한방난임지원사업 ▲한의사의 의과영역 진단서, 치매등급관련 의사소견서 발급 등 한의계의 의과영역 침탈행위에 대해 차례로 문제점을 제기한 바 있다.
그러면서 한의협에 △한방 난임지원사업 효과성과 과학적 근거 △한의약 처방에서 중금속 약재 사용의 안전성 △한의대 교육과정과 의대 교육과정의 비교 검토 △한방 진단서의 법적 효력과 공신력 문제 등을 주제로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한의협은 "의협이 직접 연구해 발표한 '한의대와 의대 교육 75%가 유사하다'는 내용조차 마치 한의계가 주장한 것처럼 검증해 보자며 본인들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해당 기자회견문을 정말 의사들이 작성했는지 의심될 정도"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협이 지적한 한의 난임지원사업은 효과성이 입증돼 많은 지자체들이 이를 지원하고 있으며, 의약품용 한약재 역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쳐 한의의료기관에 공급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초음파와 뇌파계, X-Ray 등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대해서도 사법부의 준엄한 판결이 있었고, 이후 행정적인 절차는 한의계와 정부부처가 협의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한의협은 "지금 의료계가 최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내부 비난 여론을 돌리기 위한 내부 정치 꼼수가 아니라, 자신들이 외면하고 있는 필수의료 붕괴와 턱없이 부족한 양방 공중보건의사 문제, 의대증원 불발로 파생될 양의사 부족과 진료공백 등 실질적인 사안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한의협은 "현재 대선 정국임을 고려해 한의협과 의협이 머리를 맞대고 여야 대통령 후보와 함께 시급한 의료현안을 타개해 나갈 수 있는 생산적인 논의를 해보자"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