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2.0908:30

"김윤 교수님, 중환자 의료진의 노력을 폄훼하지 말고 현장의 전문가들이 정책을 이끄는 풍토를 만들어주십시오"

[칼럼] 김제형 고려대 안산병원 중환자의학과 교수·대한중환자의학회 무임소이사 [메디게이트뉴스]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윤 교수는 지난 11월 30일 제29차 한국과총-의학한림원-과학기술한림원 “코로나 감염, 올겨울 난 괜찮을까?” 온라인 공동포럼에서 “정부의 감염자 관리 문제점과 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했습니다. 해당 발표의 상당 부분이 국내 중환자 진료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과 자의적 해석 및 판단을 근거로, 중환자 진료에 전념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과 소속 중환자 전담의료진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초래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이에 일선에서 중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의료진의 일원으로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관련기사=김윤 교수 "병상·인력 부족이 원인 아니라 코로나 중환자 보고 싶지 않은 민간 의료기관이 문제"] 1. “대구지역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들이 병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환자 진료를 위해 병상을 내놓지 않은 것이 실체적 진실”이라는 의견은 환자 진료에 헌신했던 병원과 의료진의 노력을 폄훼할 소지가 다분합니다. 전

2021.12.0907:00

민간의료기관도 당연지정제 지정…공공-민간의료기관 이분화하는 '공공성'의 덫에서 벗어나자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하는 보건의료정책 어젠다]⑪ 박진규 대한신경외과의사회장·대한의사협회 부회장 대선 후보들에게 제안하는 보건의료정책 어젠다 제20대 대통령선거가 내년 3월 9일로 다가왔습니다. 각 후보캠프들이 여러 단체들로부터 정책 제안을 받아 대선 공약을 완성하고 있습니다. 메디게이트뉴스는 대통령 후보라면 반드시 짚어야 하는 보건의료정책 어젠다(agenda)를 사전에 심도 있게 살펴보고 이를 대통령 후보들의 공약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의료계 전현직 리더들의 릴레이 칼럼을 게재합니다. 의료계가 각종 악법에 대한 방어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선제적으로 꼭 필요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의료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①이철호 전 의협 의장 "일차의원과 중소병원 특별법·의료전달체계 정립·수가현실화" ②이로운 의협 홍보이사 "의료분쟁처리 특례법 제정" ③박상준 의협 부의장 "의료전달체계 확립과 응급의료시스템 정비" ④최운창 전남의사회장 "지역의료 살리기" ⑤안치석 전 충북의사회장 "서울과 지역 의료격차 최소화" ⑥주신구 병원의사협의회장 "보건의료 문제는 의사들과 먼저

2021.12.0813:15

윤석열 캠프 "중환자 병상 국가가 책임지겠다...공공병원은 코로나 전담병원 전환"

원희룡 중앙선대위 정책총괄본부장 "재택치료 원칙∙환자 이송체계도 전면 개편...백신 부작용 국가 책임 약속"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 캠프가 코로나19 중환자 병상 확보는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약속했다. 공공의료기관을 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전환하고, 부족한 병상은 공공건물 개조와 긴급임시병동 신축 등을 통해 확충하겠다는 내용이다. 윤석열 캠프는 전날(7일) 백신 부작용을 정부가 책임지겠다고 한 데 이어 연일 코로나 관련 공약을 내놓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원희룡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정책총괄본부장은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문재인 정부의 무능이 국민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병상이 없어 대기 중인 중증환자가 수도권에만 1000명 가까이 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 본부장은 “윤석열 정부는 병상확보를 위해 공공의료기관을 전담병원으로 전환할 것”이라며 “2015년 메르스 사태 때처럼 공공의료기관 모든 병동을 코로나 중환자 치유에 집중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예상되는 전문병동 부족에 대비해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공공건물을 개조하거나 긴급임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