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09:30

한국 의료전달체계, 진료권 폐지 이후 붕괴 상태…"거점의료기관 공공·민간 통합해야"

의협 의료정책연구원,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개선 방안 연구 발표…일본 사례 토대로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방안 제안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우리나라 거점의료기관 지정을 공공·민간 의료기관 통합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는 진료권 폐지 이후 한국 의료전달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제기에 따른 것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29일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정책현안분석을 발간했다. 연구는 우리나라 ‘거점의료기관 지정 제도’ 추진 현황 및 이와 유사한 제도인 일본 지역의료 지원병원제도의 운영 경험을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형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거점의료기관 제도는 공공 중심의 책임의료기관 및 민간 중심의 포괄2차종합병원 지정 제도로 이원화해 운영되고 있다. 책임의료기관과 포괄2차종합병원에 중복 지정된 공공병원도 다수 존재한다. 반면 일본의 거점의료기관은 민간·공공 여부에 관계 없이 지정될 수 있지만 도입 초기부터 민간 병원의 지정 비율이 높으며, 현재도 민간병원 중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운영 주체 측면에서 살펴보면,

2025.10.2807:14

복지부-교육부, 국립대학병원 소관 부처 이관 관련 현장소통 강화…9개 국립대병원 간담회 추진

10월 27일부터 11월 12일까지 9개 지역국립대학병원 찾아가 임상·교육·연구 등 포괄적 지원방안 설명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보건복지부와 교육부는 27일 전국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을 직접 방문해 현장 소통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방문은 양 부처와 국립대학병원이 함께 참여 중인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논의를 통해 마련된 임상·교육·연구 등 포괄적 지원방안을 각 병원에 직접 설명하고,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국정과제인 '국립대학병원 거점병원 육성 및 소관부처 보건복지부 이관' 관련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소관부처 이관에 따른 교육·연구 위축 등 현장 우려사항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10월 27일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시작해 11월 12일 충북대학병원을 마지막으로 총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을 모두 순차·방문한다. 이형훈 제2차관은 "그간 정부와 국립대학병원과의 소통 노력이 현장에 계신 구성원들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현장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교육부와 함께 국립대학병원 소관부처 보건복지부 이관 관련 우려사항을 해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