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산학협력단, 루카스바이오와 특허권 양도계약 체결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루카스바이오와 특허권 양도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도계약은 가톨릭대학교 중개의학분자영상연구소 연구팀에서 개발한 ‘IL-21을 발현하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B세포 림프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한 특허 2건에 대한 것이다.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는 골수에서 얻을 수 있는 성체줄기세포의 일종으로 비교적 분리·증식이 쉽고, 지방세포, 연골세포, 심장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등 다양한 세포형태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같은 특징 때문에 조직손상·치료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식·자가 면역질환 모델에서 면역관용·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개의학분자영상연구소 연구팀은 이러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에서 착안, 각각 ▲IL-21(인터루킨 21)과 ▲TGF β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염기서열)을 적용한 면역세포 치료제 연구를 진행했다. IL-21은 자 2022.06.10
카이스트, 사람처럼 느끼고 상처 치유 가능한 '로봇 피부' 기술 개발
KAIST(카이스트)는 지난 9일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 연구팀이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슈투트가르트 대학교(Univ. of Stuttgart)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다양한 외부 촉각 자극을 인지할 수 있으며, 칼로 베어져도 다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로봇 피부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카이스트 박경서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에 6월 9일 출판됐다.(논문명: A biomimetic elastomeric robot skin using electrical impedance and acoustic tomography for tactile sensing) 사람의 가장 큰 장기인 피부는 내부를 충격에서 보호함과 동시에 주위로부터의 물리적인 자극을 전달하는 통로다. 피부를 이용한 정보 전달(혹은 촉감)은 표면 인식, 조작, 쓰다듬기, 꼬집기, 포옹, 몸싸움 등으로 종류가 다양하며, 2022.06.10
JVM, 중기부 K-스마트 등대공장 선정돼 3년간 최대 12억원 지원
한미사이언스는 지난 9일 계열사 제이브이엠(JVM)이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인 'K-스마트 등대공장' 국비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K-스마트 등대공장은 세계경제포럼(WEF)이 세계 제조업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이끄는 대형 공장 중 선정하던 글로벌 등대공장(Lighthouse Factory)을 중기부가 벤치마킹해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선정하는 선도형 스마트공장을 말한다. 선정된 기업은 중기부 지원을 받아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을 적용해 실시간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게 된다. 구축 완료 후 해당 공장은 국내 제조업의 고도화 방향을 제시하고 업종을 선도하는 ‘벤치마킹 모델공장’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중기부는 선정 기업이 협력사, 학계 등과 개방형 혁신을 통해 첨단솔루션을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3년간 최대 12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첨단솔루션 구축 후에는 대학교, 업계 등과 모범사례 공유를 위한 공장견학 프로그램 운영도 지 2022.06.10
건국대병원 이계영 센터장, 폐세척 액상생검 기반 수술 전 렉라자 선행치료 임상연구 개시
건국대병원은 이계영 정밀의학폐암센터장이 폐세척 액상생검으로 진단된 절제 가능 EGFR 유전자변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유한양행 3세대 표적항암제 렉라자를 선행 치료하는 2상 임상연구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임상연구는 올해 초 식품의약품안전처 IND승인을 받아 지난달부터 개시됐다. 이는 폐암이 의심되는 120~150여명의 비흡연 혹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이 교수가 개발한 폐암 진단법인 폐새척 액상생검을 시행, EGFR 유전자변이 폐암을 찾아내 렉라자를 9주 선행 치료 후 수술해 최종 병리 진단·병기를 확인하고 폐세척 액상생검의 조직 일치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수술 후 최종 병기가 1기로 확인되면 치료를 종료하고 2, 3기 이상으로 확인되면 재발 방지를 위해 3년간 렉라자를 추가로 복용하며 추적 관찰한다. 폐세척 액상생검은 침습적 조직검사 기반의 현재 폐암 진단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계영 교수가 개발했다. 기관지내시경을 통해 종양이 위치한 부위에 접근해 식염 2022.06.10
제약바이오협회, 美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가속화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원희목 회장이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한국바이오혁신센터(Korea Bio Innovation Center in Boston) 개소식에 참석하고, 한·보스턴 제약인의 밤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원희목 회장을 비롯해 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 권순만 보건산업진흥원장, 이형훈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유기준 주보스턴총영사관, 현지 생명과학 단체 대표 등 6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개소한 한국바이오혁신센터는 미국 보스턴 켄달스퀘어의 캠브리지 이노베이션센터(CIC)에 자리를 잡았다. CIC는 보스턴, 마이애미 등 9개 지역에 위치한 공유사무실로, 세계 각국의 7500여개 기업이 입주해 실시간 정보공유와 파트너십, 기술이전, 합작투자법인(JV) 설립 등을 진행하는 곳이다. 중국, 독일, 캐나다, 벨기에 등 각국 정부는 CIC에 자국기업 중심의 거점을 두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센터 개 2022.06.10
동아ST, ADA 참가 'DA-1726' 비임상연구 결과 발표
동아ST(동아에스티)는 제82회 미국 당뇨병학회(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에 참가해 신약 후보물질 DA-1726 비임상 연구 성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미국 당뇨병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당뇨병 관련 국제학회로, 동아에스티는 2년 연속 참가한다. 지난해 동아에스티는 DA-1241 과제를 발표했고 올해 DA-1726의 체중 감소와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소개했다. DA-1726은 옥신토모듈린 유사체(Oxyntomodulin analogue) 계열의 비만·당뇨병 신약 후보물질로,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에 동시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며 말초에서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을 유도한다. 이번 비임상 연구 발표에 따르면, 비만 동물 모델에서 GLP-1 유사체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대비 우수한 체중감소 효과를 확인했고 에너지 대사에 2022.06.10
"얼어붙은 제약바이오 투자…정부가 나서서 메가펀드 조성·대기업 연계로 장기적인 지원"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급증했던 제약바이오산업 투자가 최근 임상실패, 주가조작 등 부정적인 사건과 정부 R&D 지원 축소, 국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포기 등의 이슈가 이어지면서 대폭 축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포스코기술투자 안구영 실장은 지난 9일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중앙대 의약바이오융복합연구소가 주관하고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가 마련한 신정부 신약개발 육성 정책토론회에서 "제약바이오업계 투자금이 거의 끊긴 상태다. 정부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약산업 전환점, 국가 차원에서 글로벌 리딩하는 절호의 기회로 활용해야 안구영 실장은 "1년전인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분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 좋았다. 자금이 몰리면서 연구개발(R&D)도 활성화되고 회사 창업도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엔데믹화되면서 급격히 분위기가 바뀌고 있으며, 여러 부정적인 사례들로 인해 제약바이오산업에 엄 2022.06.10
동아ST,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사후관리심사 통과
동아에스티는 한국표준협회가 지난 5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실시한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사후관리심사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사후관리심사는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인증 후 시스템 운영의 유지·점검을 위해 매년 실시된다. 지난해에는 3년 단위로 실시되는 갱신 심사를 통과해 ISO 37001 재인증을 받았다. 이번 한국표준협회의 사후관리심사는 시작 회의, 부패방지책임자 면담, 프로세스 심사, 현장 심사, 종결 회의로 진행됐다. 동아에스티는 부패방지에 대한 대표이사의 강한 의지와 리더십, 내부심사원 자체 양성, 부패방지위원회 운영,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주관부서인 지속가능경영실의 시스템 개발과 다양한 CP 관련 홈페이지 운영 등을 강점으로 평가받아 통과했다. 현재 동아에스티는 경제적 가치와 환경보호, 사회적 기여 등 사회적 가치를 결합한 공유가치의 창출을 위해, 사회적가치위원회를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부패방지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전 사업장을 2022.06.09
한미 HM43239 80mg, 120mg 용량 이어 160mg 용량에서도 완전관해 확인
한미약품은 최근 파트너사 앱토즈가 키 오피니언 리더(KOL, Key Opinion Leader)웨비나에서 HM43239의 재발성 또는 불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 대상 글로벌 1/2상 최신 데이터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HM43239는 기존 약제에 반응이 없거나 내성이 생긴 급성골수성백혈병(AML, acute myeloid leukemia) 치료 혁신신약 후보물질로, 골수성 악성 종양에서 작용하는 주요 키나아제(kinases)를 표적하는 1일 1회 투여 경구용 골수키놈억제제(MKI, myeloid kinome inhibitor)다. 지난해 11월 미국 나스닥 상장 기업인 앱토즈에 라이선스 아웃(기술수출)됐으며, 올해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패스트트랙 개발 의약품으로 지정됐다. 이번 웨비나를 통해 앱토즈는 확장 용량인 160mg 투여군에서도 새로운 완전관해(CR, complete remission 또는 CRi, Complete remission with incomp 2022.06.09
한국오츠카제약,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37001 인증 갱신
한국오츠카제약은 한국컴플라이언스인증원이 실시하는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37001의 인증을 갱신했다고 8일 밝혔다. ISO37001은 최초 인증 후 매년 사후 심사를 진행하고, 매 3년마다 갱신 심사를 실시해 부패 방지 경영과 관련한 활동 내역 및 효과, 적합성 여부 등을 점검한다. 한국오츠카제약은 지난 2019년 글로벌 제약사 최초로 국내에서 ISO37001인증을 취득하고, 2020년과 2021년 사후 심사를 거쳐 그 지위를 유지해왔다. 이번 갱신 심사는 대표이사 인터뷰, 내부심사과정 및 관리 프로세스 검토, 주관부서 및 해당부서의 인터뷰 등을 통해 최초 인증 때와 동일한 심사를 진행했다. 이번 갱신 심사에서 한국오츠카제약은 대표이사를 비롯한 전 임직원들의 강한 부패방지 실천 의지, 주관부서 중심의 운영이 아닌 각 실무부서 중심의 자율적 시스템 운영, 정기 교육 및 내부 심사원 지속 육성을 통한 강도높은 자체 내부심사 진행과 발견 시 즉각적인 개선 등에서 높은 평가를 2022.06.09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