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ABL103 국내 임상 1상 승인
에이비엘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ABL103의 국내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B7-H4와 4-1BB를 동시에 타깃하는 ABL103은 블록버스터 신약 키트루다로 대표되는 PD-(L)1 기반의 기존 면역항암제와 유사한 작용기전을 보이면서도, 발현하는 환자와 암종에 있어서는 PD-(L)1 기반 치료제와 음의 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를 보인다. 이는 ABL103이 전체 환자의 20%에서만 효과를 보이는 PD-(L)1 기반 면역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동안 치료 혜택을 누리지 못했던 환자들을 위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임상에서는 질병이 진행중인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ABL103을 단독 투여해 용량 증량 및 종양 확장 시험을 진행하며 약 36명 환자의 용량 증량 파트 데이터를 통해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대 내성 용량 및 2상 권장 용량을 2023.08.10
노보 노디스크 위고비, 심근경색·뇌졸중 등 주요 심혈관 사건 위험 20% 줄여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삭센다 주1회 버전인 GLP-1 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 성분명 세마글루티드)가 당뇨병이 없는 과체중·비만 성인의 심혈관 건강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3상 SELECT 임상시험 결과 위고비가 과체중 또는 비만 성인에서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 위험을 20% 줄이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연구는 최대 5년 동안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예방을 위한 표준 치료의 보조제로 2.4㎎ 용량의 위고비 주1회 투여와 위약을 비교한 임상시험이다. 과체중 또는 비만이면서 당뇨병 병력이 없고 심혈관 질환이 있는 45세 이상 성인 1만7604명이 등록됐으며, 2018년에 시작돼 41개국 800개 이상 시험기관에서 실시됐다. 1차 평가변수는 심혈관 사망, 비치명적 심근경색 또는 비치명적 뇌졸중으로 정의된 MACE의 첫 번째 발생에 대한 복합 결과였다. 그 결과 위고 2023.08.10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 인재 대상 '여름에 뭐하니' 진행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 인재를 대상으로 직무 멘토링 프로그램 및 회사 설명회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여름에 뭐하니?' 라는 주제로 '에피스 프라이데이(EPIS Friday)', '에피스와 랜선사(社)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며 15일까지 삼성바이오에피스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신청 접수를 받는다. '에피스 프라이데이(EPIS Friday)'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5년차 이상 직원들이 멘토로 나서 바이오 인재들에게 회사 및 직무 소개, 취업 관련 노하우 등을 공유하는 오프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16개 직무 별 멘티를 선정해 밀착형 멘토링을 제공하고 바이오 인재들과 더욱 가깝게 소통할 예정이다. '에피스와 랜선사(社)담'은 온라인 회사 설명회로 회사 소개 및 질의 응답, 임원특강 등의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사팀장 노성원 상무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바이오 산업을 이끌 인재들에게 회사의 주요 업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2023.08.09
한국오가논, 모범적 노사관계 바탕 '조직 결속력 향상 및 지속적인 비즈니스 성장' 이뤄가
한국오가논이 노동조합과 1일 광화문에 위치한 서울 사무소에서 ‘2023~2024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체결은 2021년 한국오가논이 분사 및 공식 출범한 후 노·사가 이뤄낸 첫 단체협약으로 이로써 올해와 내년도에 대한 협약을 마치게 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으로 임금 인상과 추가 휴가일수 부여, 가족 건강검진 확대, 중식비 증액, 경조사 지원 혜택 등이 포함됐고 이를 통해 직원들이 업계에서 경쟁력 있는 보상을 제공받고 일과 삶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근무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한국오가논과 노동조합은 앞으로도 노·사간의 상생과 협력하는 문화 정착을 위해 지속적인 소통과 협의를 이어 나갈 방침이다. 한국오가논 김소은 대표는 "회사 분사와 출범 이후 지난 2년여간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이뤄 왔으며, 이번 협약도 직원을 가장 우선으로 두고 노·사가 성실하게 대화에 임한 끝에 지속적인 성장과 상생의 기반이 될 합의를 이 2023.08.09
한국MSD-진흥원 신약개발 글로벌 협력의 장, ‘리서치데이’ 성황리 개최
한국MSD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공동 주관하고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리서치 데이(Research Day)’가 약 190여명의 제약바이오산업 관계자 및 연구자가 참가한 가운데 8일 성공리에 열렸다고 9일 밝혔다. 리서치데이는 국내 제약산업 연구개발(R&D) 생태계 조성과 동반성장을 돕고 국내기업과 MSD간의 오픈이노베이션 협력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발표를 맡은 데이비드 웨인스톡 부사장(MSD 연구개발, 항암 부문)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암 치료분야의 혁신'을 주제로 MSD가 선도하고 있는 항암 연구에서 다양한 의학적 미충족 분야에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자사의 전략적 방향성과 연구자로서 지견을 공유했다. 데이비드는 ▲PD-1 면역억제제를 통한 혁신 ▲다양한 분자적 맥락(Molecular contexts)에 따라 결정되는 종양 표적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신항원 치료제 및 임상 ▲병용요법 활용 단일제 선택시 고려점 ▲암환자치료 혜택 향상을 위한 MSD의 연구개발 비전과 방 2023.08.09
J&J,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세번째 출시 합의…2025년 이후 출시로 굳히나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물질특허는 미국에서 올해 9월 만료되지만, 오리지널사인 존슨앤드존슨(J&J)의 특허 방어에 가로막혀 라이선스 계약에 서명하는 바이오시밀러사가 늘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 합의 계약이 늦어질수록 이전 합의자들보다 출시일이 늦춰지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경쟁사들의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프레지니우스 카비(Fresenius Kabi)·포미콘(Formycon AG)이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FYB202와 관련해 J&J와 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합의로 FYB202는 규제 당국의 승인에 따라 늦어도 2025년 4월 15일까지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할 수 있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미국 출시 관련 합의 계약은 암젠(Amgen)과 알보텍(Alvotech)·테바(Teva Pharmaceuticals)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암젠은 5월 계약을 통해 ABP 654를 늦어도 2025년 1월 1일 2023.08.09
에이치이엠파마-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MOU 체결
에이치이엠파마(HEM Pharma)가 지놈앤컴퍼니와 신약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제 공동연구 및 개발 ▲기타 LBP(Live Biotherapeutic Product) 개발을 위한 상호 기술 교류 전반 등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의 발전과 육성을 도모하고, LBP 신약개발 고도화를 위한 기술 공동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이번 협약을 필두로 양사는 기존 파이프라인 강화 및 혁신적 타겟 발굴 등 신약개발 프로세스에 주력할 계획이다. 특히 에이치이엠파마는 신약개발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솔루션의 효능을 극대화시키는 독자적 특허 기술 PMAS(Personalized Pharmaceutical Meta-Analysis Screening, 장내 환경 개선 물질 스크리닝 기술) 등을 접목시킬 예정이다. 에이치이엠파마 지요셉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양사가 보유한 독자적 기술과 연구개발의 경험이 더해져 공동 2023.08.08
클리노믹스, 휴믹과 AI기반 암백신 임상실험 및 다중오믹스 서비스 협력 양해각서 체결
클리노믹스가 휴믹과 인공지능(AI) 기반 암백신에 대한 인간화 마우스 임상실험(전임상) 공동연구와 다중오믹스 서비스 분야의 사업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클리노믹스는 올해 3월 항암/항노화 AI 신약개발 전문기업인 자회사 제로믹스를 통해 AI 기반의 바이오 게놈엔진 이용 맞춤형 암백신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MOU를 통해 높은 면역원성을 갖는 네오에피토프(neoepitope) 등 후보군들의 동물 임상실험을 통하여 예측 정확도, 효능 등을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휴믹은 인간화 마우스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동물실험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이다. 인간화 마우스는 맞춤형 항암제, 인간 특이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클리노믹스 관계자는 “글로벌 수준의 액체생검 기술과 노하우를 제로믹스의 암백신 기술과 연계해 장기적으로 연구개발의 시너지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피만 뽑으면 간편하게 질병을 미리 예측(진단)하고, 환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치료제를 2023.08.08
디지털 헬스 분야 강화 위해 노보 노디스크제약-카카오헬스케어 업무 협약 체결
노보 노디스크제약이 카카오헬스케어와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 600만 당뇨인들의 혁신적인 혈당관리를 위해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협약식은 노보 노디스크제약 사샤 세미엔추크 사장과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이사가 참석한 가운데 7일 오후 4시 서울 잠실 노보 노디스크제약 사옥에서 열렸다. 이번 협약으로 노보 노디스크가 국내에서 하반기 출시 예정인 말리아 스마트 센서 기술과 카카오헬스케어의 서비스 간 협업에 동의하고 단계별로 ▲카카오 서비스와 장치 연결 ▲환자 스스로 장치를 활용해 혈당 지속 기록 후 의료진 모니터링 ▲통합적인 당뇨병 관리를 통한 서비스 확장을 추진한다. 말리아 스마트 센서 기술은 기존 인슐린 펜과 연결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일 인슐린 주사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 기록해 실시간 치료 모니터링을 추적한다. 해당 디바이스를 플렉스터치 펜과 같은 인슐린 자가주사 펜에 부착해 환자에게 투여된 약물 투약 용량과 주사 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블루투스를 통해 원격으로 연결된 소프 2023.08.08
[슬립테크] 밤에 악몽꾸고 소리지르는 아이·밤새 게임하는 청소년 수면 치료 필요할까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대한수면학회가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B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꿀잠프로젝트, 제4회 국제수면건강박람회 슬립테크 2023(SleepTech 2023)'에서 '연령대 맞춤형 수면건강'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김태 GIST(광주과학기술원)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꿀잠 원리' ▲박기형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교수 '수면과 치매 위험성' ▲최하연 중앙보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스트레스와 수면장애' ▲김상하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수면건강과 만성질환의 위험성' ▲변성환 분당제생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소아청소년층의 수면 문제 해결' ▲서수연 성신여대 심리학과 교수 '잠 안자는 아이들을 위한 부모 솔루션' 강연이 이뤄졌다. 광주과학기술원 김태 교수는 "각성회로와 수면회로는 똑딱이 스위치와 비슷한 상호작용을 한다. 각성회로가 올라가면 잠에서 깨고 수면회로가 올라가면 잠이 들게 되는 것이다. 따 2023.08.0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