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세라퓨틱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벡톤디킨슨(BD)'과 판권 계약 체결
엑셀세라퓨틱스가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기업 벡톤디킨슨(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D)과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엑셀세라퓨틱스는 BD의 유세포분석 장비, 단일세포 분석 시스템, 연구용 시약 제품 등에 대한 국내 판매권을 확보했다. 엑셀세라퓨틱스는 올해 2분기부터 영업 및 마케팅을 본격화해 국내 바이오 회사, 대학 연구 센터, 병원 등에 BD 제품을 공급해 나간다. BD는 바이오 테크놀로지 기술 및 학술지원을 통해 제품 판매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엑셀세라퓨틱스는 BD와 판권 계약을 맺음으로써, 국내 세포 치료제 개발 고객사들에게 세포배양 배지(Media) 뿐만 아니라 세포 연구에 필수적인 세포 분석 장비와 연구용 시약 제품을 함께 공급하는 토탈 솔루션 프로바이더(Total Solution Provider)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할 캐시카우를 확보하고. 핵심 주력 사업인 세포배양 배 2025.03.27
엔젠바이오, UAE 정밀의료 플랫폼 기업 프리페어와 유통 계약 체결
엔젠바이오는 아랍에미리트(UAE) 국부 펀드에서 투자해 설립한 정밀의료 기술기업 프리페어 랩스(Prepaire Labs)와 함께 UAE를 포함한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을 타깃으로 한 전략적 제휴 기반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계약을 통해 엔젠바이오는 해당 지역에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반 정밀진단 패널 공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프리페어는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밀의료 플랫폼 기업으로, 아부다비 마스다르 시티에 본사를 두고 있다. 유전체, 후성유전체, 생화학 지표 등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질병 위험을 예측하고, 맞춤형 건강 관리 전략을 제안하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정밀의료 관련 기업들 중 특정 분야의 최고의 기술을 확보한 기업들을 선별하여 제휴를 맺고 있으며, 엔젠바이오는 암 정밀의료 패널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다. 자체 플랫폼인 'GenetiQ Digital 2025.03.26
파로스아이바이오, 美AACR서 난치성 폐암 치료제 PHI-501 전임상 데이터 공개
파로스아이바이오가 4월 25~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PHI-501’의 난치성 폐암 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이번 발표를 통해 KRAS 변이 폐암에서 기존 치료제 한계를 극복한 PHI-501의 우수한 항암 효능을 입증하고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더해 유효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개발 및 라이선스 아웃 기회도 적극 모색한다. 공개된 초록 내용에 따르면 pan-RAF/DDR 이중저해제인 PHI-501은 여러 종류의 KRAS 변이 폐암 세포에서 BRAF 억제제보다 우월한 항암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기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치료제인 KRAS G12C 억제제 소토라십에 반응하지 않은 KRAS G12V, G12S, Q61H 변이 폐암에서도 우수한 암 세포 및 종양 성장 억제 효능이 확인됐다. PHI-501은 pan-RAF와 DDR1(Disc 2025.03.26
리가켐바이오, AACR서 STING 작용제 포함 5건 전임상 결과 발표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가 4월 25~30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전임상 연구 결과 5건을 발표한다고 26일 밝혔다. 대상 후보물질은 면역항암제로 개발 중인 STING 작용제 'LCB39'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술이전을 통해 후보물질이 도출된 LRRC15 ADC 'SOT106', CA242 ADC 'IKS04' 등이며, 리가켐바이오와 파트너사들을 통해 구두 및 포스터로 발표될 예정이다. LCB39는 리가켐바이오가 독자 개발 중인 차세대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 단백질을 표적해 선천성 면역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STING 작용제는 기존 면역항암제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 기전으로 주목받으며 수많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개발을 시도했으나 약효 부족 및 부작용 이슈로 대부분 포기했다. LCB39는 리가켐바이오의 고유 기술력을 활용해 경쟁 ST 2025.03.26
메드팩토, 뼈질환 치료제 'MP2021' 네이처 자매지 게재
메드팩토가 뼈질환 신약 후보 ‘MP2021’에 관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본리서치(Bone Research)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MP2021은 파골세포 등에 작용하는 유전자 ‘TM4SF19’를 저해하는 물질이다. 골다공증, 골소실 질환, 암으로 인한 뼈 전이 등을 적응증으로 KDDF(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이며 연내 임상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TM4SF19는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등의 원인이 되는 파골세포 다핵화 형성에 영향을 주는 신규 표적 단백질로, 메드팩토 김성진 대표가 세계 최초로 작용기전을 규명해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메드팩토는 재단법인 길로와 공동으로 콜라겐 유도 관절염(CIA, Collagen-Induced Arthritis) 동물 모델에 MP2021을 투약한 결과, TM4SF19 저해로 인해 비정상적인 파골세포의 활성이 억제되고 염증 및 골 파괴가 유의미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또한 MP2021에 의한 TM4SF19 저 2025.03.26
지엔티파마, 美 나스닥 IPO 주관사 선정…연내 상장 추진
지엔티파마가 연내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미국 투자은행 라덴버그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기업공개(IPO) 준비에 돌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지엔티파마는 앞서 미국 로펌 SRFC와 법무 컨설팅 및 기업공개를 위한 상장업무 계약을 체결했다. 1879년에 설립한 라덴버그는 IPO와 인수합병 등의 업무를 주관하는 미국 뉴욕 소재 투자은행으로, 1만1600여명의 직원을 보유하면서 1000조원이 넘는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SRFC는 미국은 물론 유럽, 중국, 일본, 및 한국 기업의 나스닥 상장과 투자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형 로펌으로, 지난해 130건 이상의 기업공개 등 자본시장 거래를 성사시켰다. 지엔티파마는 "개발중인 신약의 글로벌 임상과 제다큐어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외 상장을 준비해 왔다"면서 "라덴버그와 SRFC의 제안에 따라 연내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나스닥 상장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국내 바이오 제약 기업이 나스닥에 직접 상장한 첫 사례 2025.03.26
노보 노디스크도 삼중 작용 비만 치료제 확보…중국 기업과 20억달러 계약 체결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차세대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중국 기업으로부터 삼중 호르몬 수용체 작용제에 대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해당 후보물질은 중국에서 진행된 1b상에서 12주 후 체중이 1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보는 유나이티드 래보라토리즈 인터내셔널(The United Laboratories International)의 자회사 유나이티드 바이오테크놀로지(United Bio-Technology)와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인 초기 임상 단계 GLP-1과 GIP, 글루카곤 삼중 수용체 작용제 UBT251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에 따라 노보는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전 세계에서 UBT251을 개발, 제조, 상용화할 수 있는 독점권을 가진다. 대신 노보는 유나이티드에 선급금 2억 달러와 마일스톤으로 최대 18억 달러를 지불한다. 유나이티드는 2025.03.26
시총 60억달러 달했던 DNA 검사 업계의 대표주자 23앤미 파산 신청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DNA 검사 업계를 대표하는 회사 중 하나인 23앤미(23andMe)가 파산 신청했다. 2021년 정점을 찍었을 때 23앤미의 시가총액은 60억 달러(약 8조8000억 원)에 달했으나, 조상 찾기 검사 수요가 줄고 2023년 10월 데이터 유출로 평판이 나빠지면서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최고경영자(CEO)이자 공동 설립자인 앤 워치츠키(Anne Wojcicki)는 인수 입찰을 수차례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CEO 자리에서 물러났다. 미국 미주리 동부지역 파산법원에 제출된 신청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23앤미의 총 자산은 2억7700만 달러, 총 부채가 2억1500만 달러에 달했다. 23앤미의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28% 감소한 1억9180만 달러였다. 워치츠키는 지난해 23앤미를 비상장 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사회에서는 제안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이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직원을 200명을 해고하고 모든 개발을 중단했다. 올해 1월 매 2025.03.25
에스엔이바이오, 모야모야병의 비수술적 요법 치료 가능성 제시
에스엔이바이오가 미국뇌졸중학회(ISC 2025) 심포지엄에서 모야모야병의 비수술적 요법 치료의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최근 미국 L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미국뇌졸중학회에서 희귀유전성 난치성 질환인 모야모야병을 극복하기 위한 심포지엄이 개최됐다. 이 심포지엄에는 미국, 일본, 유럽, 한국의 석학들이 참석해 모야모야병의 원인 및 치료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나눴다. 엑소좀산업협의회의 회원사인 에스엔이바이오에서 개발 중인 줄기세포-엑소좀 치료제 'SNE-101'의 모야모야병 환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비임상 연구 결과가 발표됐으며 현재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인 모야모야병에서 비수술적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이자 에스엔이바이오 대표이사인 방오영 교수는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결핍돼 있는 유전물질(마이크로 RNA-X, Y)을 함유한 줄기세포-엑소좀을 정맥주사해 모야모야병 환자 혈관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모야모야병 동물모델에서 감소된 뇌관류를 개선한 결과 2025.03.25
우정바이오-플러그앤플레이코리아 MOU 체결…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가속화
우정바이오와 글로벌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플러그앤플레이코리아가 신약개발 및 바이오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24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보유한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결합해 국내 바이오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신약개발 플랫폼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우정바이오와 플러그앤플레이코리아는 신약개발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발굴 및 연구개발(R&D) 지원, 비즈니스 매칭, 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우신클)를 기반으로 비임상 연구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플러그앤플레이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양사는 연간 두 차례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하며, 선정된 기업들에게 맞춤형 멘토링과 성장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플러그앤플레이는 전 세계 우량 기업들이 전략적으로 선별된 스타트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2025.03.25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