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지난 17일 민주당 주최로 열린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관련 토론회.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건약)는 18일 논평을 통해 "정치권의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숟가락 얹기를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7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들은 보건복지부 산하 재단법인 국가감염병임상시험 지원센터를 방문, 국산 개발 치료제와 백신의 임상시험에 동참을 서약하는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어 민주당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셀트리온제약 서정진 회장은 임상시험 모집대상자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12월 중에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허가를 득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건약은 "코로나19 위기는 총체적인 비상시국이다. 정부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전에 없던 임상시험의 비용을 지원하고, 권역별로 국가감염병임상시험센터까지 마련해 치료제 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게다가 이제는 여당에서 임상시험 참가를 약속하기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건약은 "한편으로 의약품 개발에 외부의 입김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 기억해야 한다. 인보사 케이주는 전에 없었던 2번의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거쳐 허가됐고, 결국 종양유발세포를 이용한 가짜 치료제라는 오명과 함께 2019년 허가 취소됐다"면서 "리아백스 주 또한 실패한 외국의 임상시험 자료를 후향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처럼 꾸며 허가를 받았고, 승인 후 추가 임상시험에서 유용성을 입증하지 못해 지난 8월에 허가 취소됐다"고 밝혔다.
잇딴 두 번의 의약품 허가취소 사태는 식약처의 부실한 허가 심사에 기인한 것으로, 여전히 외부의 압력에 의해 허가됐다는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상황이다.
더욱이 유력 대선주자인 이낙연 당대표가 임상시험에 참여한 셀트리온 치료제가 의약품 허가 심사에 들어간다면, 식약처 심사관들이 공정한 심사를 할 수 있을지 건약 측에서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건약은 "미국 제약회사들이 잇따라 백신 임상시험을 성공했다는 소식이 나오자, 집권여당에서 임상시험 캠페인 참여의사를 밝힌 것은 사실상 코로나19 개발에 여당이 숟가락을 얹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트럼프가 미국 대선 과정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과를 자신의 치적으로 삼기 위해 했던 행동들과 크게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위해 정치권은 의약품 인허가에 관여하는 듯한 오해를 살 수 있는 언행을 즉각 멈춰야 한다"며 "제약사들은 마치 치료제가 나올 것처럼 금융시장에서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도 자제하고, 주식 홍보보다 의약품의 과학적 근거 확보에 힘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식약처가 승인한 코로나19 관련 임상시험의 결과와 임상시험에 공적 지원이 얼마나 이뤄졌는지 조속히 공개해야 한다"며 "현재까지 단 한 건의 임상시험 결과도 온전히 공개되지 않았다. 개발된 코로나19 관련 의약품의 유용성이나 안전성을 신뢰하기 위해서 임상시험의 투명성이 확보돼야 한다. 동시에 공적 지원이 얼마나 이뤄졌는지 공개돼야 개발된 의약품의 적정한 가격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다"고 촉구했다.
건약은 "정부 지원 하에 개발되는 백신과 치료제의 공급이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에 공평하게 나눠질 수 있도록 생산기술과 특허를 여러 국가에 공유할 것도 약속해야 한다"면서 "공적 지원으로 개발된 치료제와 백신이 민간기업의 이윤으로만 돌아가지 않고, 전 세계, 특히 참담한 위기에 처해있는 저개발 국가에도 백신과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공유해야만 정치적 의도로 의약품이 허가된다는 의구심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댓글보기(0)